세종시 소재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도 급물살...지역 반발 확산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소재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도 급물살...지역 반발 확산

해수부 및 산하기관 관계자 16일 모여 내부 논의
세종 소재 해양교통안전공단, 항로표지기술원 포함
서울과 대전, 충북, 인천 기관들도 대상 물망
충청권, 18일 범시민 이천 촉구 결의대회로 총집결

  • 승인 2025-07-16 16:16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20250714_141047 (1)
1996년 8월 해수부 첫 출범 이후 조각가 김오성 씨에 의해 제작된 표지석. 현재 세종청사에 있으나 해수부 이전에 따라 함께 옮겨질 전망이다. 사진=이희택 기자.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나비효과가 서울시와 세종시 등으로 산재된 산하 기관의 후속 이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1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의 부산 이전이 연말로 확정되고, 입지도 부산시 동구 IM빌딩(본관)과 협성타워(별관)로 정해졌다.

이 같은 흐름이 강행 국면으로 전환되면서, 자연스레 서울과 부산 등으로 분산된 해양수산 관련 산하기관 이전안으로 옮겨가고 있다.

해수부는 이날 내부 고위 관계자 회의를 통해 이 같은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외형상 해수부와 산하 기관이 한데 모여 있어야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다는 판단으로 다가온다.



현재 지역별 주요 산하기관 현황을 보면, ▲한국해양환경공단,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한국해양조사협회, 한국어촌어항공단 : 서울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한국항로표지기술원 : 세종시 아름동 ▲국립해양박물관, 한국수산자원공단, 한국해양진흥공사, 한국해양수산연수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부산 ▲국립해양과학관 : 경북 울진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충남 서천 등으로 요약된다.

여기서 집중적으로 거론된 대상은 서울과 세종 소재 기관들이다. 북극 항로 개척을 넘어 부산을 해양산업 중심지로 키우기 위해선 불가피한 수순으로 읽힌다.

KakaoTalk_20220204_085829304_16
세종시 아름동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문제는 해당 지역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있다. 서울과 세종을 넘어 대전 소재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부터 충북 옥천의 측위정보원, 인천 소재 극지연구소 등에 이르기까지 물망에 오르면서, 반발 기류가 거세지고 있다. 전재수 장관 후보자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선·해양플랜트과의 흡수 이동 의견도 내놓은 상태다.

국민의힘 곽규택 의원(부산 서·동구)은 이날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해양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법안을 대표 발의하며 지원 사격에 나섰다. 이 안에도 해수부와 소속·산하기관의 안정적 이전을 담아냈고, 특화 혁신지구 조성을 통한 각종 특례를 넣었다. 공직자들의 주거 안정화 대책도 포함했다.

충청권 4개 시·도는 이 같은 움직임에 분명한 반대 입장을 내보이며, 18일 오후 대규모 결의대회를 준비 중이다.

KakaoTalk_20250715_135143649
18일 결의대회 예고 포스터. 사진=해수부 시민지킴이단 제공.
해수부 이전 반대 충청권 범시민 결의대회는 이날 오후 7시부터 나성동 나무그늘 광장에서 충청향우회와 해수부 시민지킴이단 공동 주최로 충청권 4개 시·도 단체장과 다수의 지역 인사, 시민단체, 충청권 시민이 함께한 가운데 진행될 예정이다.

충청향우회중앙회 이진삼 총재는 "해수부의 부산 이전 시도는 560만 충청인에 대한 명백한 배신이자, 국가 균형발전 전략의 퇴행"이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전국 750만 출향 충청인들은 충청권과 하나 되어 충청이 대한민국의 중심이자 균형발전의 미래임을 분명히 하면서, 부당한 정책에 단호히 맞서 싸우겠다"고 밝혔다.

주최 측은 "논리적 정당성도, 공론화 과정도 없는 해수부 이전은 명백한 충청권 홀대"임을 분명히 하고, 이번 결의대회를 통해 정부에 충청권의 정당한 목소리를 전달, 해양수산부의 이전 계획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요구할 방침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위기 징후 있었는데…" 대전 서구 모자 사망에 복지단체 실태 점검, 대책 촉구
  2. 구자홍 비노클래식 대표, 목원대 문화예술원장 취임
  3. 대전교육청 급식 준법투쟁 언제까지… 조리원 직종 교섭 오리무중
  4.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5. 충남대 ‘대전형 공유대학 설명회’… 13개 대학 협력 시동
  1. 대전대 HRD사업단, 성심당 재직자 직무능력 향상교육
  2.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3. [사설] 여가부 세종 이전이 더 급하다
  4. 이재명 새 정부 '국가균형성장' 정책… 혁신 비전과 실행력 선보일까
  5.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헤드라인 뉴스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 지천댐 건설 `찬성`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 지천댐 건설 '찬성'

중도일보, 대전일보, 충청투데이가 함께 진행한 '지천댐 건설 찬반 여론조사' 결과,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이 지천댐 건설에 찬성했다. 앞서 지천댐 지역협의체가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찬성표가 소폭 줄긴 했으나, 이는 조사범위 확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이번 결과에 따라 다수의 주민이 지천댐 건설을 희망하는 것으로 드러나 댐 건설 명분이 보다 명확해졌다. 중도일보-대전일보-충청투데이는 지난 11일부터 14일까지 '지천댐 건설에 대한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여론조사는 ㈜리얼미터가 수행했으며 조사 대상지는 청양..

이진숙 장관 후보 논문표절 적극 해명… 자녀 유학 공식 사과
이진숙 장관 후보 논문표절 적극 해명… 자녀 유학 공식 사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가 제기된 여러 논란을 적극 해명하면서도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의혹에 대해선 고개를 숙이며 국회 인사청문회를 정면 돌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카더라식 의혹’보다 능력과 정책 검증을 강조하며 이 후보를 엄호한 반면, 국민의힘은 시종일관 자진 사퇴를 촉구하며 맞섰다. 이 후보는 16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민주당 진선미 의원과 국힘 김대식·김민전·서지영 의원 등이 여러 의원이 질의한 논문 표절 논란과 관련, "이공계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며 의혹을 적극 해명했다. 이 후보는 "2..

세종시 소재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도 급물살...지역 반발 확산
세종시 소재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도 급물살...지역 반발 확산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나비효과가 서울시와 세종시 등으로 산재된 산하 기관의 후속 이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1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의 부산 이전이 연말로 확정되고, 입지도 부산시 동구 IM빌딩(본관)과 협성타워(별관)로 정해졌다. 이 같은 흐름이 강행 국면으로 전환되면서, 자연스레 서울과 부산 등으로 분산된 해양수산 관련 산하기관 이전안으로 옮겨가고 있다. 해수부는 이날 내부 고위 관계자 회의를 통해 이 같은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외형상 해수부와 산하 기관이 한데 모여 있어야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다는 판단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