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
더불어민주당은 ‘카더라식 의혹’보다 능력과 정책 검증을 강조하며 이 후보를 엄호한 반면, 국민의힘은 시종일관 자진 사퇴를 촉구하며 맞섰다.
이 후보는 16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민주당 진선미 의원과 국힘 김대식·김민전·서지영 의원 등이 여러 의원이 질의한 논문 표절 논란과 관련, "이공계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며 의혹을 적극 해명했다.
이 후보는 "2007년도부터 총장에 임용되기 전까지의 약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가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검증했고, 모두 (표절률이) 10% 미만이라고 판정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언론이 지적한 2007년 이전의 논문들을 저도 한번 카피킬러로 돌려봤다. 어떻게 저런 표절률이 나올 수 있는지 돌려봤는데 10%를 겨우 넘었다"며 "카피킬러는 유사 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올라간다. 그래서 전문가가 하나씩 다 제외해가면서 정확히 돌려야 진정한 유사율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특히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선 "가장 많이 지적되는 게 부당한 저자 표시다. 제1저자로 쓰면서 제자 논문을 가로챘다는 것"이라며 "논문을 작성할 때 이공계에서는 공동 연구자들끼리 논문 작성 기여도를 따지고 이에 따라 제1저자를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문계와 달리) 이공계의 경우 대학원생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교수가 수주해 온 국가과제나 연구과제로 수행된다"며 "그것을 학생은 세부 과제로 진행하고 발전시켜서 본인의 학위 논문으로 가는 게 일반적 (논문) 발표 순서"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그래서 학위논문 연구는 지도교수가 수행하는 연구과제 일부분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지도교수와 대학원생 간 기여도를 고려해 제1저자를 결정해야 한다는 게 연구재단의 지침"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저의 경우 제자와 같이 공동으로 연구한 논문에서 제1저자로 오른 경우는 전체의 30% 정도"라며 "나머지 70%는 제자와 공동 연구 혹은 참여 연구 형태로 진행했다"고 말했다.
'본인이 주 저자라면 제자의 학위는 무효가 되는 것 아니냐'는 질의에 대해선, "충남대에서는 이공계의 경우 교수와 학생이 공동으로 논문을 발표해야 학위(논문)를 낼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며 "그래서 제자와 교수가 공동으로 연구하는 것은 필수"라고 답했다.
![]() |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자녀 조기 유학 등 논란과 관련해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
이 후보는 "자녀가 유학할 당시에는 불법인지조차 인지를 못 했다"며 "국민 여러분께 정말 송구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 진심으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그러면서 "해외 유학은 큰아이가 미국에서 공부하기를 아주 오랜 기간 강력하게 희망했다"며 "부모 마음으로 정말 떼어 놓기 힘들어서 많이 말렸지만, 워낙 의지가 강해 그런 입장에서 이기지 못하고 청을 들어준 것이다. 둘째도 언니가 갔으니 간 것"이라고 해명했다.
유학비가 3년간 6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지적에 대해선, "정확하진 않지만 학비와 생활비를 포함해 2분의 1 정도(3억원)로 기억한다"며 "둘 다 딸인 만큼 방법이 없어 기숙학교를 찾게 됐다"고 해명했다.
“진보와 보수단체, 사회단체, 모교 일부 동문회, 국민검증단 등이 이 후보는 안 된다고 결론 내렸다”며 사퇴 여부를 묻는 국힘 김대식 의원의 질의에 이 후보는 "몇 분들이 반대했지만, 충남대 총동창회를 비롯해 국공립대학총장협의회, 실제 다수 교수집단이 지지성명을 냈다"고 했다.
그러면서 "36년간 학자로서 살아오는 동안 그렇게 비판받을 일을 하면서 학자의 삶을 살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