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Big)-데이터웨이브 '데이터마켓' 기능./부산시 제공 |
'빅(Big)-데이터웨이브'는 지난해 6월 시민 공모를 통해 명칭이 선정된 이후, 데이터 저장소, 분석 서비스, 대시보드 등 포털 서비스를 시작했다.
올해 3월 데이터마켓, 데이터 통합 지도 등 2단계 사업을 완료하고 4월부터 학생, 기업, 공무원 등 다양한 사용자의 테스트와 시범 운영을 거쳐 최종적으로 개통됐다.
'빅(Big)-데이터웨이브'의 주요 서비스 내용으로는 △데이터 카탈로그(공공 데이터 및 맞춤형 데이터 제공) △데이터 분석(대시보드 및 셀프 분석 기능) △데이터 활용(시각화 및 데이터 프로파일링) △데이터마켓(데이터 구매, 맞춤형 데이터 의뢰, 참여 기업 홍보) △데이터 지도(전국 통합 맵, 지도 기반 데이터, 시민 공감 지도) 제공 등이 있다.
시는 시범 서비스 운영 기간(4월~7월) 동안 사용자 요청 사항 개선, 서비스 장애 대응 체계 마련 등을 통해 안정적인 본 운영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특히, 시범 기간 동안 '데이터마켓'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하고 판매 데이터를 등록했으며, 화면 디자인 및 기능 개선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전국 지자체 최초로 '데이터마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빅(Big)-데이터웨이브'는 지역 데이터 산업 발전과 민관 협력 기반의 데이터 중심(허브) 역할에 앞장서 '데이터로 도약하는 디지털 경제도시 부산'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데이터마켓은 단순한 데이터 거래를 넘어 지역 데이터 기업 간의 상호 협조, 데이터 공동 활용 및 분석을 통한 시너지 효과, 정보 교류 및 홍보의 장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지난 5월에는 민간 기업과 공사·공단 등 31개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부산 민관 데이터 공유·활용 협의체'를 구성해 기업의 거래 데이터 등록을 유도하고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빅(Big)-데이터웨이브'의 본격적인 운영은 민간 데이터 공급 및 수요 기업이 참여해 기업 보유 데이터를 유통·거래하고 데이터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민관 협력 기반의 데이터 생태계를 조성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시는 '빅(Big)-데이터웨이브'의 본격적인 운영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전국 시도 및 시 누리집을 통한 홍보와 함께 21일부터 온라인 시민 참여 이벤트를 실시한다. 이번 이벤트는 '빅(Big)-데이터웨이브' 팝업·공지사항 또는 시 누리집 설문조사를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두 가지 주제로 진행된다.
첫 번째 이벤트는 21일부터 2주간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의 명칭을 맞추는 것이고, 두 번째는 오는 28일부터 2주간 '빅(Big)-데이터웨이브' 홍보 표어(슬로건)를 공모하는 것이다 (예시: "부산! 데이터의 물결, 미래의 흐름!!").
정나영 시 미래기술전략국장은 "이번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 본 가동을 통해 지역의 데이터 허브 조성과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시정 구현에 앞장설 것"이라며, "민관 협업 기반의 데이터 공유·활용·유통 등 데이터 생태계 조성 및 지역 데이터 산업 활성화로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의 디지털 경제 도시 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