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원내대표산청읍사무소호우피해통합지원본부방문<제공=경남도> |
도는 기상특보 해제 이후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으며, 산청군 등 피해가 심각한 지역에 대해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정부에 공식 요청했다.
7월 16일부터 이어진 집중호우 기간 동안 도는 '비상 1단계'에서 '비상 3단계'까지 대응 수위를 순차적으로 격상하며 총 2220명 공무원을 비상근무에 투입했다.
이 과정에서 5829세대 7482명의 주민을 선제적으로 대피시켰고, 반복 피해 지역과 위험 요소를 중심으로 현장 점검과 긴급 조치를 병행했다.
20일 오후에는 산청군을 방문한 국민의힘 중앙당과 지역 국회의원들과 함께 박완수 도지사가 피해 현황을 공유하고 국비 지원 및 항구복구 방안을 논의했다.
도는 향후 응급복구 인력과 장비를 우선 투입하고, 주거·생계·심리 등 이재민 대상 맞춤형 지원도 병행할 계획이다.
박완수 지사는 "서부 경남 전역이 피해를 입었다"며, 신속한 복구를 위한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항구적 개선 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반복되는 기상이변 속에서 대응 체계는 '사후 복구'에 머무르고 있으며, 복구와 예방을 동시에 설계하는 구조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긴급 단계는 종료됐지만, 위기는 여전히 땅 아래에 있다.
복구는 시작됐지만, 다음 재난의 문은 아직 닫히지 않았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