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운대수목원 전경./부산시 제공 |
이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탄소 저감의 중요성이 커지고 국제사회의 '2050 탄소중립' 노력에 발맞추기 위함이다.
부산시는 2040년까지 산림, 공원, 녹지, 공동주택 부지 등 총 300헥타르(ha) 규모의 수목을 활용해 약 1500톤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15년간 외부사업 등록, 인증, 배출권 확보 등 절차를 단계적으로 진행하며,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 이후 조성된 수목 식재지 중 법적 의무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대상지는 산림 식생복원지, 산불피해지, 공동주택 내 법정 조경 면적 외 추가 식재지 등이며, 우선 대규모 식재지부터 시작해 단계적으로 소규모 부지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부산시는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친환경 기업 유치 기반 마련과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파급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특히 탄소중립 실천을 통해 사회가치경영(ESG) 도시로서 부산의 위상을 높이고, 국내외 기업의 기후 규제 대응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부산시는 지난 6월 산림청 주관 '외부사업 등록 지원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컨설팅 용역비 약 5500만 원을 절감하는 성과를 거뒀다. 공모 선정지는 해운대수목원 내 식생복원지 20ha와 해운대구 운봉산 산불피해지 27ha 등 총 2곳이다.
시는 올해 말까지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내년 3월까지 외부사업 등록을 완료할 계획이며, 내년부터 2030년까지 탄소배출권 약 235톤 확보에 본격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이 사업은 5년 단위로 탄소배출권을 확보하며, 최대 45년간 지속될 수 있다.
안철수 시 푸른도시국장은 "수목 식재를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탄소중립 정책을 꾸준히 펼쳐 탄소배출권 확보 선도도시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