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희성 교수. |
대전은 대한민국의 지리적 중심지로서 KTX, SRT, 고속도로망을 통한 전국 단위 접근성이 탁월하다. 이러한 이점을 기반으로 대전역세권, 서대전, 옛 충남도청 부지 등은 도심재생과 문화시설 복합 개발에 적합한 전략 입지로 평가된다. 수도권의 과밀 공연 수요를 분산시키고, 충청권 전체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정부의 균형발전 기조와도 맥을 같이한다.
또한 대전은 '과학문화 융복합 도시'로서 고유한 장점을 지닌다. KAIST, ETRI, 대덕특구 등의 R&D 인프라는 디지털 공연, 미디어파사드, AI 기반 콘텐츠 제작 등 미래형 공연 콘텐츠 산업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이재명 정부가 강조하는 디지털-문화 융합 산업 육성 기조와 연결되는 지점이다. 단순한 공연장 조성을 넘어, 디지털 K-컬처 실험도시로의 도약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대전형 K-아레나'는 전략적 파급력이 크다.
대전시는 민선 8기부터 문화예술 기반시설을 대대적으로 확충하고, '선(先) 디자인 · 후(後) 사업계획' 전략을 통해 제2문화예술복합단지 조성, 제2시립미술관 건립, 제2문학관 건립 등 글로벌 문화 랜드마크 조성을 목표로 여러 계획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대전형 문화예술시설은 단순히 '랜드마크' 건립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운영, 지역문화 생태계와의 연결, 시민참여 기반 구축이 병행되어야 성공할 수 있다. 대전은 아직까지 대형 K-POP, K-뮤지컬, K-국악 등의 글로벌 공연 유치를 위한 문화산업 정책과 인프라조차 부재한 상황이다. 이재명 정부의 문화산업 비전은 수도권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 분산형 콘텐츠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려는 흐름이므로, 대전은 중부권 K-콘텐츠 산업 거점으로 충분한 전략적 설득력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대전형 K-아레나 추진을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있다. 첫째, 대전시 차원의 중장기 전략 수립과 민관협력 기반의 사업추진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체육관광부, 국토부, 균형발전특별회계와 연계한 재정투자 전략과 함께, 민간 공연기획사(SM, 하이브 등)의 유치 전략도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청년예술가·콘텐츠 제작 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 마련도 필수다. 이는 이재명 정부가 강조하는 지역 일자리 창출형 문화산업 육성 방향과 정확히 일치한다.
결국 '대전형 K-아레나'는 하나의 공연장을 짓는 문제가 아니다. 이것은 대한민국이 문화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지역 분산 전략의 핵심 기지이며,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인 '지속가능한 문화산업 성장'과 '균형발전'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상징적 거점이다. 대전은 과학도시라는 과거 정체성에서 이제는 미래형 문화도시, 창조공연의 중심지로 변모할 시점에 있다. 그 중심에 바로 'K-아레나형 공연장'이 있어야 한다. 지금이 그 실현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딛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이희성 단국대 정책경영대학원 문화예술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