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TX모습. 사진제공은 코레일 |
한국철도공사가 올해 상반기 KTX와 일반열차 승객이 7200만 명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 수송량을 경신했다고 23일 밝혔다.
승객이 가장 많은 날은 어린이날 황금연휴가 시작된 5월 3일 54만 명과 4일에 53만 명이었다. 이용객이 많은 역은 서울역(11만8000 명), 동대구역(5만2000 명), 대전역(5만1000 명) 등 KTX 정차역이다. 이어, 부산역(4만8000 명), 용산역(4만1000 명), 광명역(3만4000 명), 수원역(3만3000 명), 오송역(2만7000 명), 천안아산역(2만5000 명), 영등포역(2만 명) 순이다.
지난해 보다 이용객이 가장 많이 늘어난 역은 중앙선과 동해선 신규 개통의 영향을 함께 받은 부전역으로, 하루 3000 명이 타고내려 전년 대비 2.2배 늘었다. 중부내륙선 연장개통 이후 판교역은 1.6배 늘었다. 특히, 감곡장호원역은 인근 대학교와 협의해 하루 5회(왕복) 셔틀버스를 운행한 이후 승객이 1.4배 증가했다.
가장 많이 이용한 구간은 서울↔부산으로 모두 369만 명이 승차했다. 이어 서울↔대전은 256만 명이 승차했다.
코레일은 지난해 말부터 개통한 6개 신규 노선에서 모두 250만 명을 수송하며 지역민의 이동 편의를 높이고 전국 철도망을 더욱 촘촘하게 연결했다고 밝혔다.
코레일은 신규노선 지자체와 협력해 철도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유명 관광지나 지역축제와 철도를 연계한 기차여행 상품을 함께 개발하고 관광객 유치를 위한 인프라를 확충하는 데도 힘써, 상반기 코레일을 통해 기차여행을 떠난 사람은 16만 명으로 전년대비 약 14% 증가했다.
철도 서비스 개선에도 집중했다. 지난해 12월 다시 문을 연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도 이용객이 꾸준하다. 올해 상반기에만 2만 명, 하루 평균 111명이 도심공항터미널에서 출국수속을 밟았다. 2022년부터 시작한 철도역 짐배송 서비스도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휴가철 두 손 가볍게 기차여행할 수 있도록 역과 숙소 간 짐을 옮겨주는 서비스다. 기존에는 역에서 현장 접수하거나 운영업체 홈페이지에서만 예약이 가능했으나 지난해 6월부터 모바일앱 '코레일톡'에서도 '코레일형 MaaS'의 일환으로 함께 서비스하고 있다.
코레일 관계자는 "철도망이 더욱 촘촘해질수록 지방에 새로운 활력이 돌고 있다"며 "국민이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철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