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문현 교수 |
파크골프 회원 수가 급증함에 따라 전국에 파크골프장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2019년 전국 226곳이었던 파크골프장은 현재 426곳이 되었다. 시·도별로는 경남 66곳, 경북 62곳, 경기 43곳, 강원 37곳, 전남 36곳, 대구 34곳, 충남 32곳, 서울 25곳, 전북 22곳, 충북 18곳, 부산 11곳, 광주 9곳, 울산·세종 7곳, 대전·제주 6곳, 인천 5곳 순이다.
파크골프에 참여하고 있는 등록 회원 수 20만 명은 전체 고령인구의 1,9%가 된다. 파크골프에 고령인구가 참여하고 있는 비율은 경남 5.0%, 세종 4.5%, 대구 4.3%, 강원 3.5%, 울산 3.1%, 경북 3.0%, 충남 2.6%, 충북 2.4%, 제주 2.0%, 전남 1.9%, 광주 1.6%, 전북 1.5%, 대전·부산 1.0%, 경기·서울·인천 0.6%로 조사됐다.
파크골프 회원 수 대비 홀 당 인원 수가 가장 적은 시·도는 경북(1,449홀, 13.8명), 전남(649홀, 14.1명), 충남(774홀, 16.2명), 강원(702홀, 19.6명) 순인데, 대전은 (99홀, 26.9명)으로 나타났다.
대전시의회는 24일 대전시의회 소통실에서 '파크골프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민경배 의원(국민의힘·중구3)은 토론회의 좌장을 맡아 대전시 파크골프 현황을 살펴보고 파크골프 활성화에 대한 논의를 이끌었다.이번 토론회에 필자는 주제발표자로 참석했으며, 토론자로는 연규양 대전광역시파크골프협회장·오노균 중구파크골프협회장·박종선 의원·송활섭 의원·이병철 의원을 비롯해 태준업 대전광역시 체육건강국장·이용주 대전광역시 생태하천과장·김윤정 중구 문화체육관광과장이 참석했다.
이날 토론에선 대전시의 파크골프장 조성 현황과 파크골프장 확충 계획에 대한 장시간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필자의 생각은 좀 달랐다. 땅이 없는 대전시가 궁리할 수 있는 방법이 계속해서 하천부지를 이야기하는데 하천은 홍수 한방이면 폐허가 된다. 그 사례는 매우 매우 많다. 가뜩이나 어려운 예산에서 많게는 수십억 원이 투입되는데 홍수 한번이면 몽땅 "제로"가 된다. 많은 비가 올 때마다 가슴 졸이며 하천을 바라봐야 하는 회원들의 심정을 알아야 한다. 이것은 임시시설이어야 한다.
하천은 하천법에 따라 홍수 때문에 구조물을 설치할 수가 없다. 모두가 알고 있다. 그런데 이곳에 편의시설을 설치하려고 하는 것은 사실 맞지가 않다. 파크골프는 "파크"에 마련되어야 한다. 이용객이 많아지면 화장실도 커야 하고 고령인구를 감안하면 멀지 않은 거리에 있어야 한다. 관리실, 그늘을 포함한 쉴 터, 클럽하우스도 있어야 한다. 그런데 대전은 땅이 없다.
지난 3월부터 경북 김천시노인복지관에 '스크린 파크골프장'이 설치됐다. 한 번에 12명이 이용할 수 있는 3타석 규모다. 강의가 개설되자마자 첫날 60명이 채워졌다. 대전은 땅도 없고 돈도 없는 도시이다. 스포츠시설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사용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대전시는 야구장, 축구장, 파크골프장 무엇하나 충분하지 않아 하천에라도 스포츠시설을 설치하려고 궁리하는 안타까운 도시이다.
학령인구가 줄어들어 폐교위기에 있는 초·중·고 학교 시설과 대학시설이 스크린스포츠를 이용한 평생 학습장으로 활용되는 방안이 검토되길 건의한다. 토론장에서 좋은 표현으로 파크골프장이 확충될 것이라고 하였으나, 적어도 10년 내에는 가능하지 않다. 대전시의 파크골프 참여 인구가 현재 고령인구의 1.0%인데, 경남처럼 5.0%가 되면 어찌할 것인가? 지금 있는 시설의 10배가 필요한데, 돈도 없고, 땅도 없다.
오늘도 파크골프장에선 서로 이용하려고 싸움이 끊이질 않고 있다. 2015년 청주 오창 다목적체육관에서 이용자 간 시비로 부러진 배드민턴 채로 수차례 찔러 숨지게 한 40대에게 징역 7년의 중형이 선고됐다. 남 일이 아닐 수 있다.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