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뱅크. |
27일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은 꾸준히 둔화 흐름을 보이고 있다. 6월 넷째 주(6월 23일 기준) 0.43%에서 대책 시행 이후 첫 조사 결과인 6월 다섯째 주(6월 30일 기준) 0.40%로 상승폭이 축소됐다. 이어 7월 첫째 주(7월 7일 기준) 0.29%, 7월 둘째 주(7월 14일 기준) 0.19% 등으로 둔화세가 두드러졌다. 또 셋째 주(7월 21일 기준)에는 0.16%로 4주 연속 주춤한 상승세가 주춤했다.
매수 심리 위축은 다른 지표에서도 드러난다. 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 동향을 보면 6·27대책 시행 한 달을 앞둔 7월 셋째 주(7월 21일 기준)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기준점(100)에 근접한 100.1을 기록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공급이 우위, 200에 가까울수록 집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우위임을 뜻한다. 100.1은 수요와 공급 간 우위 격차가 거의 없다는 뜻이다.
정부가 수도권 집값을 잡는 데는 효과를 봤지만, 지방에도 영향을 미치며 하락한다는 점에서 양극화에 대한 우려가 크다. 대전은 7월 셋째 주 0.07% 하락하면서 올해 들어서 28주 연속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에서 상승폭은 줄었지만, 25주째 상승세를 보인 점과 대조된다.
이를 두고, 양극화 우려에 대한 목소리가 크다. 6·27 대책이 수도권에 집중된다고 하더라도, 지방은 꾸준히 하락해서다. 이 때문에 지방에 대한 규제 완화나 구체적인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현재 큰 대출이 필요 없는 '현금 부자' 등이 가격 조정 추이를 관망하다 매수에 뛰어들면 기존 선호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또다시 들썩이며 시장에 불안 심리가 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전의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결국 수도권 부동산 분위기가 지방에도 천천히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황이 더 안 좋다. 다주택자 중과세와 대출 등에 대한 규제 완화 등 맞춤형 부동산 정책 등이 마련돼야 한다"라며 "또 제대로 된 수도권 규제에 대안이 없으면 집값이 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잡을 대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