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 위원장은 28일 입장문을 통해 "23년간 개발이 진행된 국제업무지구에서 주거시설은 사실상 93% 이상 완료됐지만, 정작 핵심 기능인 업무·상업 개발률은 절반에 불과하다"며 "최근 추진되는 G5 블록 주상복합 분양까지 완료되면 주거부지는 사실상 모두 소진되어, 업무지구 회복의 동력도 함께 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김 위원장은 "국제업무지구는 단순한 부동산 분양사업이 아니라, 글로벌 기업 유치와 고급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략적 거점"이라며 "공공시설은 공공이, 업무기능은 책임 있는 민간이 주도해야 하는데, 현재는 NSIC가 사실상 분양 시행사 역할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포스코건설과 인천경제청은 2022년 제안된 대규모 기업 유치안 무산 경위에 대해 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설명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비슷한 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남은 업무·상업용지에 대해서는 특별계획구역 지정 등 제도적 관리 장치를 도입해 난개발을 방지하고, 인천도시공사와 인천경제청이 협력해 전략적 투자유치에 나서야 한다"며 "국제업무지구가 더 이상 주거 중심 개발에 머물지 않도록 지역사회와 정치권이 함께 고민하고 대안을 마련할 때"라고 밝혔다. 인천=주관철 기자 orca2424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