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출연연은 각 기관의 인프라를 공동으로 활용하고, 연구개발 분야 AI 융합과정 공동 개발 및 운영을 통해 실무형 현장인력 육성에 나서기로 했다. 기관 간 협력을 통한 융합 연구 개발 사업 발굴과 전문인력 교류도 추진한다. 최근 국정기획위원회가 마련한 ' AI 3대 강국 도약 토론회'에서도 인재 확보 등 전략에 대한 의견이 쏟아졌다.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된 AI 인재 양성을 위해 국가 차원의 'AI 연구소' 설립도 제시됐다.
AI 인프라 구축은 인재 확보와 투자가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국내 환경은 열악하다. 얼마 안 되는 국내 AI 인재들은 미국 등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인구 1만명당 AI 인재 순유출은 0.36명으로, OECD 38개국 중 네 번째로 많다. 전문가들은 AI 인재 유출은 보수 차이뿐 아니라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같은 핵심 인프라 부족 등 열악한 연구 환경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정기획위는 토론회에서 수렴한 의견을 토대로 AI 인재 육성과 국가 차원의 연구·협력 강화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승자독식 구조가 강한 AI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R&D) 투자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 AI 인프라 구축과 규제 혁신 등 촘촘한 국가 로드맵을 실행해야 승산이 있다. AI가 산업 등 경제·사회를 빠른 속도로 재편하는 지금, 한 눈을 팔 시간이 없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