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도교 인근 하천 모습. |
당진시 폭우피해의 주된 원인은 하천 준설 및 정비를 제때 하지 않고 방치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새롭게 제기되며 논란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시는 7월 19일 새벽에 쏟아진 폭우 피해의 상흔이 아직도 아물지 않은 채 7월을 넘겼고 행정과 기관·단체가 나서서 복구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일상 회복은 아직 멀기만 하다.
특히 시는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당진천 인근 전통시장과 원도심 일부가 물에 잠기는 동일한 피해를 입은 후 그동안 방치한 하천에 눈을 돌려야 한다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이번 폭우피해 이후 원인파악에 나선 일부 시민들은 7월 30일 당진을 대표하는 주류 하천과 하류 쪽 합류 지점 등을 둘러본 후 하천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 가장 큰 피해 원인이라며 하천 준설과 정비가 시급한 현안으로 떠올랐고 여기에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을 강하게 내놨다.
이는 시가 추진하는 당진천 배수펌프장 설치보다 근본 원인이 되는 퇴적토 준설로 강바닥을 낮추고 고수부지를 손대 강폭을 넓히면 물은 얼마든지 잘 빠질 수 있는 구조가 되며 여기에 물 흐름을 방해하는 잡목까지 제거한다면 빠른 유속으로 하천이 범람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이번 국지성 집중 폭우를 겪으며 학자들도 하천 준설사업은 시민 안전과 생존권 확보에 꼭 필요한 사항이며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등에 대비하기 위한 효과적인 치수 방법으로 평가하고 있다.
제보자 L 씨에 따르면 "역천 채운교를 중심으로 상류 쪽으로는 관리도 하지 않고 사용도 거의 하지 않는 생태공원을 조성해 물 흐름이 원활하지 않다"며 "또 하류 쪽에는 퇴적토가 산더미처럼 쌓인 고수부지를 전혀 관리하지 않은 것은 문제"라고 질타했다.
아울러 "고수부지를 농지로 임대했다고 하는데 이런 안일한 생각이 재난을 키우는 것"이라고 꼬집었고 "이번 기회에 고수부지 높이를 대폭 낮춰 홍수 시 물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정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당진은 시내 한복판을 가로질러 당진천이 흐르고 동쪽에는 시곡천 그리고 도시 외곽 서쪽에서 흐르는 역천이 당진 중심 도시를 감싸고 흘러 3개 하천의 지류가 하류에서 합류하는 형태다.
그러나 시는 그동안 하천을 제대로 정비하지 않아 하천 바닥에서 잡목 수십 그루가 자라고 있고 홍수 시 상류에서 떠내려 온 쓰레기들이 나무에 걸려 물 흐름을 방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데 시는 이를 제때 관리를 하지 않아 탁상행정 논란에 휘말리고 있다.
송산 오도교 인근도 하천 바닥에 잡목이 무성한데 제거하지 않았고 강바닥 고수부지에도 퇴적토가 높게 쌓여 이번 홍수 피해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또한 지난 폭우 때 시곡천 제방 붕괴의 원인도 시민들의 하천 준설 요구를 묵살한 인재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시민 K모 씨는 "당진은 그동안 인구 증가와 도시 성장에는 비중을 두고 추진했지만 정작 중요한 홍수 대책은 세우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역천과 당진천을 따라 하류로 내려가면 하천 바닥에 큰 잡목들이 있는데 제거하지 않고 방치하므로 물 흐름을 방해해 범람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채운교 아래쪽으로는 고수부지를 임대해 농사를 지었다"며 "이번 기회에 고수부지도 대폭 낮추고 하천 바닥도 준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 관계자는 "당진천 준설은 해마다 도비를 지원받아 상류·하류·시내 구간으로 나눠 추진하고 있다"며 "생태하천이라 유수 흐름에 방해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나무를 살리며 관리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2025년에도 오도교 인근 하천의 잡목 제거 사업을 진행했으며 추가로 필요한 사항은 곧바로 조치할 것"이라며 "고수부지 퇴적토 준설은 확인해서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민 P 씨는 "정부는 당진을 호우피해에 따른 특별재난지역으로 신속히 선포해야 한다"며 "아울러 역천과 당진천이 국가하천으로 지정되도록 시는 정부에 적극 건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진=박승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