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산 대산 산단 전경 |
이완섭 서산시장이 대산석유화학산업단지(대산산단)의 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에 공식적인 정책 결단을 요청하고 나섰다.
이 시장은 3일 개인 SNS를 통해 대산산단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및 '국가산업단지'로 지정해줄 것을 강력히 호소하며, "이제는 국가가 대산을 지켜야 할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대산은 단순한 공업지구가 아닌, 서산이라는 몸체의 심장"이라며 "굴뚝에서 뿜어져 나오는 연기는 공해가 아닌 대한민국 산업을 지탱해온 숨결이었다"고 밝혔다.
대산산단은 연간 NCC(나프타분해설비) 생산능력 478만 t으로 전국 2위, 연 154억 달러 수출, 법인세 연간 5조 원 납부 등 대한민국 산업경제의 핵심 동맥 역할을 해왔지만 최근 상황은 급변하고 있다.
2024년 한 해 동안 대산 주요 4개 기업이 누적 7073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고, 설비 투자는 3년 만에 77% 급감했다. 지방세 수입도 지난해 665억 원에서 올해 291억 원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이 시장은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대산산단은 대한민국의 산업계의 무대에서 조용히 퇴장할 수밖에 없다"며 "탄소중립 요구, 글로벌 수요 둔화, 중국발 저가 공세 등 복합 위기가 대산산단을 옥죄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산시는 대산산단의 위기 돌파를 위해 이미 구체적인 계획도 수립한 상태다.
이완섭 시장은 "현행법상 기존 산단은 국가산단 지정이 어렵다는 제약이 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주 여건이 열악한 대죽리 일원에 140만 평 규모의 신규 부지를 확보했다"며 "기존 산단 195만 평과 연계해 총 1조 5000억 원 규모의 국가산단 조성 계획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서산시가 추진 중인 국가산단 구상은 단순한 산업시설 확장을 넘어선다.
RE100, 탄소중립, 청년 주거 인프라, R&D 생태계 등 미래형 산업도시를 지향하는 복합적 청사진이 포함돼 있으며, 국가산단 지정 시 기업 유치 120개 이상, 연간 생산유발 효과 4.5조 원, 고용 창출 2만 5000 명 이상이 기대된다.
이 시장은 "대산산단은 우리나라 글로벌 공급망에서 이미 중추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며 "이곳이 무너지면 대한민국 산업 경쟁력 자체가 흔들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이제는 지방정부의 힘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정부가 용기 있는 결단을 내려야 할 때"라고 재차 강조했다.
현재 서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를 포함한 관계 부처에 공식 요청서를 제출한 상태다. 향후 국회 산자위, 균발위 등과 연계한 정책 대응도 모색하고 있다.
대산산단은 서산의 심장, 대한민국의 동맥'이라는 상징적 외침은 단순한 정치적 주장 이상이며, 지역경제의 고사 위기는 곧 국가산업 체계의 균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완섭 시장의 요구는 단순한 지역 민원이 아니라 국가 정책의 방향성 설정에 대한 문제 제기로 심각하게 받아들여 질지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