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의 젖줄, 탑정호의 한숨…녹조현상 주민들 불안 가중

  • 전국
  • 논산시

논산의 젖줄, 탑정호의 한숨…녹조현상 주민들 불안 가중

전낙운 전 충남도의원, SNS에 수질악화 ‘지적’
미래 환경 변화 무방비 상태, 정치권 대책 마련 ‘요구’

  • 승인 2025-08-06 09:01
  • 수정 2025-08-06 15:53
  • 신문게재 2025-08-07 14면
  • 장병일 기자장병일 기자
KakaoTalk_20250806_085000489
녹조로 뒤덮인 논산 탑정호. 사진=장병일 기자
전낙운 전 충남도의원이 최근 자신의 SNS에 논산평야의 비옥함을 책임져 온 탑정호가 심각한 수질 악화로 병들어가고 있다고 지적해 지역사회에 큰 파장이 일고 있다.

녹색 물감을 풀어놓은 듯한 수면은 녹조 현상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주며, 지역 주민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는 탑정호가 ‘녹조’라는 오명을 쓰게 된 배경에는 저수지 관리 방식의 변화가 자리 잡고 있다는 목소리다.

일제강점기인 1944년 축조된 탑정호는 본래 잦은 물넘이를 통해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여수로’ 방식을 채택했다. 장마나 호우 시 빗물과 함께 생활 오수, 비료, 쓰레기 등이 금강으로 흘러나가면서 자정 능력을 유지했다.



하지만 1980년대 수문 방식으로 변경되고, 2012년 저수지 물그릇을 키우는 2차 증축 공사 이후 상황은 급변했다. 과거 연간 20여 차례 물넘이를 하던 것과 달리, 지금은 수문을 연 5회 정도만 개방하고 있다. 이로 인해 농약, 비료, 축산 폐수, 생활하수 등이 호수 바닥에 침전되고 부패하면서 녹조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KakaoTalk_20250806_085000000
녹조로 뒤덮힌 논산 탑정호. 사진=장병일 기자
전낙운 전 도의원은 현재의 수질 관리 방식이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장마철 후 대대적으로 쓰레기를 수거하지만, 이는 호수 표면의 일부만 걷어낼 뿐, 이미 가라앉아 썩고 있는 침전물은 손대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탑정호의 물은 논산평야 농업의 핵심 동력이다. 수질 악화는 곧 농산물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4등급의 수질이 4등급의 쌀을 생산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한 녹조에서 발생하는 발암물질에 대한 불안감은 주민들의 건강 문제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향후 2년 뒤 탑정호 상류에 위치한 완주저수지가 담수를 시작하면, 탑정호의 수질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강유역환경청이 상류 지역 오염원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지, 미래 환경 변화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전낙운 전 도의원은 “미래를 대비하지 않고 단기적인 정책만 내놓는 것은 공직자로서 무책임한 태도”라며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 특히 황명선 국회의원에게 탑정호 수질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관심과 대안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논산=장병일 기자 jang3921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2.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3.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4.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1. [오늘과내일] 대전시의회, 거수기 비판을 넘어설 마지막 기회
  2.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구봉산에 물든 가을, 함께 걷는 행복"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건강은 걷기부터, 좋은 추억 쌓기를"
  4.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산처럼 굳건하게 아이들이 자라기를"
  5. [수능 D-10] 전문가 "오답 압축과 생활리듬 조정이 중요"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국토교통부가 2월 철도 지하화 선도지구를 지정한 데 이어 12월 추가 지하화 노선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대전역 철도입체화 사업이 추가 반영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국토부 선도지구에 대전이 준비한 두 사업 중 대전 조차장 철도입체화 사업(약 38만㎡)만 선정됐지만, 이번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철도 지하화 대선 공약과 해당 지역 개발 여건 강화 등으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12만㎡)이 반영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월 '철도 지하화 및 통합개발 특별법'을 제정한..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국회를 찾아 2026년 정부 예산안 편성 방향을 직접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한다. 이 대통령은 국회의 예산안 심사 개시에 맞춰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예산안 편성의 당위성 등을 설명한 후 국회의 원활한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정부는 앞서 8월 29일 전년도(673조 원) 대비 8.1% 증가한 728조원 규모의 2026년도 슈퍼 예산안 편성 결과를 발표했다. 총지출 증가율(8.1%)은 2022년도 예산안(8.9%)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며, 경제 성장을 위한 인공지능(AI)과 연구·개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