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더위의 철학, 피서의 미학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더위의 철학, 피서의 미학

  • 승인 2025-08-11 17:04
  • 신문게재 2025-08-12 18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박남구 회장
박남구 (사)대전시컨택센터협회장
올해의 7월과 8월의 더위는 어느 해보다 기세등등하다. 창밖에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땀이 주르르 흐르고, 태양은 마치 무례한 손님처럼 에어컨 바람을 찾아 이리저리 피하게 만든다. 연일 뉴스에서는 온열 질환 주의보를 반복 재생하고, 마트에서는 얼음이 물보다 비싼 상품이 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매년 겪는 여름이지만 해마다 그 강도는 더해지는 듯하다. 지구의 온난화로 인한 온도도, 우리의 마음도 뜨거워 질대로 뜨거워지고 있는 계절이다.

더위는 자연이 주는 일종의 시험 같다. 불쾌지수가 오르면 짜증은 가벼워지고, 인내는 쉽게 끓는다. 사람과의 관계도 그렇다. 똑같은 말 한마디가 여름엔 유난히 더 뜨겁게 들린다. 우리가 무더위 속에서 버티며 배우는 것 중 하나는, 바로 냉정함이다. 몸이 뜨거울수록 마음은 차가워야 한다는 말이 있듯이 참 아이러니하다. 그래서일까, 여름엔 유독 명상과 산책, 독서 같은 고요한 활동이 권장된다. 내면을 단련하는 계절, 그것이 여름이다.

그러나 피하지 않고서는 견디기 어려운 것도 여름이다. 그래서 우리는 '피서(避暑)'라는 지혜를 만들어냈다. 예전에는 산이나 계곡, 바닷가로 몸을 옮기는 단순한 이동이 피서의 전부였다. 하지만 지금의 피서는 하나의 문화가 되었다. 공간은 다양해졌고 방식은 진화했다. 도심 속 북카페에서 보내는 조용한 오후 실내 수영장이나 영화관 또는 AI가 추천하는 최적의 냉방 시간에 맞춰 집을 비우는 스마트한 피서법까지. 피서란, 결국 더위를 슬기롭게 피하는 삶의 방식인 것 같다.

피서는 단지 온도를 낮추는 활동이 아니다. 피서는 몸을 식히는 동시에 마음을 식히는 것이다. 잠시 떠나는 것, 잠시 쉬는 것,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가장 생산적인 멈춤일 수 있다. 일 중독 사회에서 피서란 자기에게 주는 작은 자유 선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일주일에 하루라도 아니 한나절이라도 자신을 피서지로 초대해 보면 어떨까? 여름에 지친 당신에게 가장 필요한 건 삼계탕이나 냉장고가 아니라 여백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한편, 피서의 방식은 계층 간 차이를 더 적나라하게 보여주기도 한다. 누구는 해외 휴양지에서 여름을 보내고 누군가는 선풍기 하나에 의지한 채 콘크리트 옥탑방에서 여름을 견딘다. 폭염은 평등하지만 피서는 불평등한 것 같다. 에너지 복지와 환경 정의가 필요한 이유다. 더위는 기후 문제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책임임을 깨닫게 한다.

이럴 때일수록 공동체적 의식이 필요하겠다. 지역 주민센터의 무더위 쉼터, 공공 도서관, 지하철역의 그늘 같은 공공의 피서라는 인프라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더위는 함께 나눌 때만 견딜 수 있다. 피서란 혼자 즐기는 사치가 아니라 모두가 누려야 할 생존의 조건일지도 모른다.

지구의 평균 온도는 오르고 있고, 더위는 점점 길어지고, 그 양상 또한 점점 극단화되고 있다. 이젠 피서가 단순한 계절적 대응이 아니라 기후 위기에 맞서는 생존 전략이 되어야 한다. 지구와 나, 개인과 사회, 국가가 함께 더위를 이기는 방법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여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찾아온다. 그러나 그 여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그 의미는 달라진다. 무덥고 힘든 계절이지만 여름은 우리에게 쉼과 회복 그리고 성찰을 권유한다. 더위를 참기보다 더위와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어진 숙제다. 여름은 시련이자 선물이다. 그러니 올여름 당신만의 피서법으로 자신을 잘 돌보는 일, 그것이야말로 당신과 지구에 대한 예의이자 지혜가 아닐까 생각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5년'대전시 건축상' 금상에 ㈜알피에스 둔곡사옥 선정
  2. [월요논단] 세금이 못하는 일을 해낸 고향사랑기부제
  3. 대전사회혁신센터, "붓으로 연 대전 0시 축제"… 붓글씨 퍼포먼스 눈길
  4. 대전 0시 축제, 외국인 장기자랑 대회 성료
  5. [한성일이 만난 사람]백상기 국제라이온스협회 356-B지구 라이온스 축구단장(356복합지구 전 의장)
  1. 천안시, 적극행정 실천한 스타공무원 9명 선발
  2. 이제는 역발상 '농촌 특화 관광지'로...8~11월 이벤트 풍성
  3. 굿네이버스 대전지부-윤크커피, 좋은이웃가게 현판 전달식
  4. 제98차 지역정책포럼-이재명 정부의 문화관광정책과 지역의 과제 주제로
  5. 신영복지재단 대덕구노인종합복지관 제1분관 신대노인복지관 강당 준공식

헤드라인 뉴스


대전 0시축제,  참가자의 눈과 귀, 입 사로잡았다

대전 0시축제, 참가자의 눈과 귀, 입 사로잡았다

2025 대전 0시 축제가 궂은 날씨를 잊게 하는 재미로 참가자들로부터 폭발적 반응을 얻고 있다. 대전시는 8일 개막 후 3일 동안 대전 0시 축제를 찾은 관람객은 잠정 87만 명으로 추정된다고 11일 밝혔다. 8일 첫날에는 24만 7000명, 9일 32만 5000명, 10일 29만 4000명이다. 이는 2024년 같은 기간 77만 9928명보다 10만 명이 증가한 수치다. 특히 가족 및 단체 관람객이 늘어난 것으로 시는 분석하고 있다. 시 종합상황실 관계자는 "K-POP 콘서트가 매년 최대 관람객이 집적되는 시간대였으나, 올해는..

국회세종의사당 설계공모 착수… 2026년 5월 밑그림 공개
국회세종의사당 설계공모 착수… 2026년 5월 밑그림 공개

세종시 세종동 일대에 들어선 ‘국회세종의사당’의 밑그림이 2026년 5월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국회사무처가 11일 국회세종의사당 설계 공모 관리용역에 착수했다고 발표하면서다. 용역 수행업체는 (사)한국건축가협회로, 15개월 동안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국회세종의사당은 ‘국회법 제22조의 4와 국회세종의사당의 설치 및 운영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세종시 세종동 일대에 들어선다. 현재 진행 중인 기획재정부와의 총사업비 협의 후 설계 공모를 하고 2026년 5월까지 설계 공모 당선작을 선정해 국민에게 국회세종의사당의 밑그림을 제시할..

대전 괴정동 전 연인 살해 장재원 신상 공개
대전 괴정동 전 연인 살해 장재원 신상 공개

대전 괴정동에서 전 연인을 살해한 피의자 장재원의 신상이 공개됐다. 대전경찰청은 특정중대범죄 피의자 등 신상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라 살인 사건 피의자의 신상정보를 공개한다고 11일 밝혔다. 경찰은 대전경찰청 누리집에 피의자 장씨의 이름과 나이, 정면·측면 얼굴 사진을 공개했다. 공고는 이날부터 다음 달 10일까지 30일 동안이다. 대전경찰은 지난 8일 신상정보공개심의위원회를 열어 장씨의 신상 공개 여부를 논의했고 범행의 심각성, 피해의 중대함 등을 따져 공개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장씨는 지난 7월 29일 대전 서구 괴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태극기를 게양합시다’ ‘태극기를 게양합시다’

  • 대전오월드 동물들의 시원한 여름나기…‘아이 시원해’ 대전오월드 동물들의 시원한 여름나기…‘아이 시원해’

  •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뻔한 대전 오류동 교통사고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뻔한 대전 오류동 교통사고

  • 계곡 물놀이로 날리는 무더위 계곡 물놀이로 날리는 무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