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여에서 왔습니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관계자들이 2025청주공예비엔날레 현장을 찾아 관람하고 있다. (사진=청주시 제공) |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가 개막 열흘 차인 13일에도 변함없는 인기를 구가하며 분주한 주말을 열었다.
 |
문재인 전 대통령 부부가 청주공예비엔날레 현장을 찾았다. (사진=청주시 제공) |
전국에서 달려온 관람객으로 붐볐던 열흘. 문재인 전 대통령 내외부터 숙명여대,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등 전국의 공예 관련 전공자들은 물론 제천문화재단, 목포예총 등 전국의 예술인들과 대한민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회장단까지, 공예비엔날레 보러 청주로, 청주로 향했던 발걸음들이 사진들로 남았다.
 |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단체장들도 청주공예비엔날레 현장을 찾아 관람하고 있다. (사진=청주시 제공) |
공예비엔날레를 보기 위해 13일 이른 시각 서울에서 출발해 1박 2일 일정으로 청주로 왔다는 진광래(서울 강남구 수서동) 씨는 기억에 남는 작품으로 성파선예전의 100미터 한지 '명명백백'을 꼽으며 "100미터에 달하는 한지의 규모에도 압도됐지만 그 속에 담긴 '자신을 비우고 온전히 본질을 마주하라'는 종정 스님의 철학과 메시지가 작품 제목처럼 '명명백백'하게 다가왔다"는 후기를 전했다.
관람객으로 종일 발 디딜 틈 없었던 13일 오후 청주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장인 이범석 청주시장도 비엔날레를 찾아 현장을 점검하고, 관람객들의 생생한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휴일 잊은 개막 열흘 차를 보냈다.
개막 이후 내내 흥행세를 이어온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는 오는 11월 2일까지 문화제조창에서 열린다. 추석 당일을 제외한 월요일은 휴관이다.
청주=엄재천 기자 jc00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