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노인신문] 노(老) 부부의 행복한 밥상

  • 사람들
  • 실버라이프

[대전노인신문] 노(老) 부부의 행복한 밥상

이길식 명예기자

  • 승인 2025-09-25 10:06
  • 신문게재 2025-09-26 11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이길식
이길식 명예기자
우리나라는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는 유엔 기준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2000년에 고령화 사회를 맞이했던 대한민국이 2017년 고령사회가 된 지 불과 7년여 만에 초고령사회가 된 것이다. 이런 속도는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다. 이와 같은 추세라면 20년 뒤인 2045년에는 노인 비율이 37.3%까지 솟을 전망이다. 물론 초고령사회를 온 국민이 박수갈채로 환영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장수 만세'나 '백세시대를 반기기에는 우리가 치러야 할 사회 경제적 대가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반면에 생산가능인구 (15~64세)의 감소 및 소비 위축에 따라 국가 경제는 저성장의 늪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아무리 장수 시대라고 하지만 정신적이나 육체적으로 건강하게 오래 산다는 것은 녹록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최근 다중집합 장소에 가보면 회자(膾炙)되는 말 가운데 팔순 이후로 '집사람이 해 주는 밥을 먹는 사람은 참으로 행복한 사람이다'라고 이구동성(異口同聲)으로 공감대가 형성됨을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실제로 필자가 알고 있는 김남순(88.서구) 씨 내외는 존경과 부러움이 차고 넘친다. 구순이 코앞인데 이른 아침 달그락달그락 아침 조반을 준비하는 소리에 잠이 깨어 정성스럽게 만든 반찬에 모락모락 김이나는 밥상 앞에 얼굴을 마주하고 식사하며 정담을 나누면서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꽃피우고 정답게 살아가는 부모님 모습에 자식 또한 부모님에 대한 존경심과 사랑, 감사와 칭찬에 부모와 자식 간은 천륜으로 부자자효(父慈子孝)를 실천하는 근래에 보기 드문 효 실천까지 이어져 '부모는 자식의 거울'임을 방증(傍證)하고 있다. 지금은 장수 시대, 세간에 회자(膾炙)되는 9988~123이 그냥 나온 이야기가 아니다. 나만은 자식에게 짐이 안 될 것이며 깔끔하게 삶을 마무리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이 다를 리 없다. 그래서 아무렇지 않게 '자다 가야지' 같은 말도 많이 한다. 하루 이틀 병원에 있다가 가야지 같은 말도 많이 한다. 우리 인간은 누구나 태어나 모르는 것과 아는 것 세 가지가 있다. 인간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갈지는 아무도 모른다. 반면 언젠가는 죽음을 맞이하고, 같이 못 가고, 가지고 못 간다. 그래서 수의(壽衣)에는 주머니도 없다. 라는 말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런 상황에서 노인은 경제활동도 어렵다 보니 빈곤하고 신체적으로 만성질환 등 어려움이 많음을 간과(看過)해서는 안 된다. 대부분 노인은 몸이 아파도 요양병원 요양시설 입소를 꺼리고 정든 집에서 노후를 보내고 싶어 하고 재가 임종 또한 선호하는 추세가 지배적이다.

지금 시간에도 병원에서 촌각을 다투며 생명의 연장선에 얼마나 많은 노인이 고통의 한숨이 병실을 서리고 있는 현실 속에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가 태어나면 언젠가는 소멸하는 자연의 이치다.



결론적으로 노부부처럼 장수하며 행복한 밥상과 마주하려면 평소에 건강관리를 소홀히 하지 않고 자신에 맞는 운동과 귀가 얇아 남이 좋다고 내 몸에 맞지 않는 약물 오남용 금지는 물론 편식하지 말고 영양가 있는 제철 음식을 골고루 섭취해 면역력을 높이고 매사에 긍정적인 사고로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다동다접(多動多接)해 활기찬 고령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의 새로운 품격이자 지혜로 건강하고 행복한 밥상을 마주한 삶이 오래 이어지길 기원해 본다. /이길식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체육회 종목단체 회장 숨진 채 발견돼 경찰 조사중
  2. 글로컬대학 30 본지정 발표 임박…충청권 대학 운명은?
  3. 대전 특수학교 입학대란에 분교 설립 추진… 성천초 활용은 검토 미흡
  4. 대전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증차에도 시민불편 여전
  5. 2025 대전 0시 축제 평가회
  1. 영유아 육아 돕는 친족에 월 30만원… 충남도, 내달부터 가족돌봄 지원사업 시행
  2. 공공기관 2차이전 실효성 위해 지역 상생협력 강화해야
  3. 세종시교육청 '학폭 지원단' 뜬다
  4. 유성구 더불어민주당 의원…‘비공개회의 무단 녹취·촬영 사과하라’
  5.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헤드라인 뉴스


대전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증차에도 시민불편 여전

대전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증차에도 시민불편 여전

"병원 진료를 위해 배차 신청을 했는데 2시간이 넘게 걸려 진료받기까지 힘들었어요." 대전 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을 이용하는 한 시민의 말이다. 대전에서 교통약자 이동지원 대상자는 해마다 늘고 있지만 이용자들은 긴 대기시간과 배차 지연, 시스템 문제로 여전히 불편을 겪고 있다. 24일 대전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운영 종합현황에 따르면 8월말 운영 중인 차량은 특별교통수단 116대, 전용임차택시 40대, 바우처택시 230대다. 회원가입 인원은 3만 74명으로 차량은 부족한 상황이다. 시가 매년 특별교통수단과 바우처택시를 증차하고 있지만..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파업과 치료 중단 사태를 빚은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를 위해 국가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과 대전시의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와 공공재활 의료 개선과제 국회토론회’에서다.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대전 국회의원 7명과 충남의 이재관 의원(천안시을), 국힘 김예지 의원(비례),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비례),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비례)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토론회에서는 연간 92억원을 투자하고도 68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점을 강조하며 국가가 운영비를..

한국시리즈 마지막 기회 한화이글스, 역전 조건은?
한국시리즈 마지막 기회 한화이글스, 역전 조건은?

프로야구 한화이글스와 LG트윈스가 이번 주 대전에서 한국시리즈 직행 티켓을 놓고 혈전을 벌인다. 3게임 차로 다소 불리한 상황이지만 한화가 수성을 노리는 LG를 상대로 짜릿한 반전 승수를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된다. KBO에 따르면 24일 오전 기준 프로야구 전체 구단 중 승률 1위 구단은 LG, 2위는 한화다. LG는 83승 3무 51패로 승률 0.619를 달리고 있으며, 한화는 80승 3무 54패로 0.597을 기록하고 있다. 두 구단의 격차는 단 3게임이다. 유리한 고지를 선점한 채 순위 방어를 노리는 건 LG다. 양 팀의 경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

  • 추석맞이 송편·전 나눔 ‘훈훈’ 추석맞이 송편·전 나눔 ‘훈훈’

  • 유성구 더불어민주당 의원…‘비공개회의 무단 녹취·촬영 사과하라’ 유성구 더불어민주당 의원…‘비공개회의 무단 녹취·촬영 사과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