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양군청 전경 |
이번 결정에는 단양천댐을 비롯해 강원 양구 수입천댐, 삼척 산기천댐, 경북 예천 용두천댐, 청도 운문천댐, 전남 순천 옥천댐, 화순 동복천댐이 포함됐다. 지난해 7월 신규 후보지로 지정된 이후 지속된 논의와 갈등은 이로써 마무리 국면을 맞게 됐다.
단양천댐은 후보지 발표 직후부터 지역 사회의 거센 반대에 부딪혔다. 군의회가 반대 건의안을 채택했고, 주민들은 건설 반대 투쟁위원회를 조직해 집단 행동에 나섰다. 단양군도 의견 제출과 공청회 등 절차를 통해 지역의 목소리를 거듭 전달하며 건설 취소를 요구해왔다.
환경부는 정책 중단 배경에 대해 "14개 댐의 총 저수량이 소양강댐의 11% 수준에 불과해 기대했던 홍수 조절 효과를 확보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군 관계자는 "지역의 뜻이 모아지고 행정적 대응이 이어진 끝에 얻어낸 성과"라며 "앞으로도 군민의 안전과 환경 보전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단양=이정학 기자 hak482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