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남시 공무원, AI 행정 혁신 아이디어 발굴 |
이번 제안대회는 실제 행정업무와 민원서비스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 결과물 도출에 초점을 맞췄다.
시는 2회 연속 '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전국 최고 수준의 민원 서비스를 입증한 데 이어, 이번 대회를 통해 AI 기반 행정혁신을 본격화했다.
특히 직원들의 AI 실전 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사전 실습 교육을 실시하고, 공모전을 통해 앱 프로토타입까지 직접 제작해보는 실전 중심 구조로 구성되어 타 지자체의 AI 공모전과 차별화했다.
대회는 총 17건의 AI 기반 행정혁신 아이디어가 접수하여, 서면심사(90%)와 직원투표(10%)를 거쳐 선정된 상위 5건 본선 무대는 공정한 심사를 위해 생중계로 진행됐다.
심사 항목은 ▲제안내용의 창의성(기존 정책과 차별화 여부) ▲실현 가능성(예산·인력·법령 등 고려) ▲파급효과(개선 효과 및 확산 가능성) ▲생성형 AI 활용 적정성(활용 방식의 구체성·현실성) 등 이였다.
최종 수상작 다섯 건의 아이디어 중 금상은 '노코딩 무신고 영업 관리 앱 '무영이''가 차지했다. '무영이'는 단속 현장과 행정 데이터를 결합해 미신고 업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앱으로, 이미 현장에서 시범 운영되어 인정받았다.
이어 은상은 'AI 행정도서관'과 '하남시 정책 허브'가 각각 수상했다. 'AI 행정도서관'은 행정문서와 정책자료를 AI가 분류·검색·요약해 시민과 직원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플랫폼이며, 타 지자체의 정책사례를 AI로 분석·검색해 정책 기획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동상은 'AI로 만드는 나만의 뉴스 브리핑 서비스'와 '업무 흐름 엔진·마리모 '가 각각 수상했다.
AI가 시정 및 정책 관련 데이터를 자동으로 요약·가공해 개인 맞춤형 뉴스로 제공하는 아이디어로 생성형 AI를 활용해 앱을 직접 구현한 점이 돋보였다.
'마리모'는 반복적인 행정업무를 AI 워크플로우로 자동화하는 시스템으로 발표 단계에서 실제 업무 시뮬레이션을 선보이며 행정의 효율적 변화를 제시했다.
이현재 시장은 "AI는 행정 효율성과 시민 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핵심 아이디어 정책이다"라며 " 'AIdea 하남' 같이 직원 스스로 실험하고 실행하는 시도들을 통해 AI 기반 스마트 행정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하남=이인국 기자 kuk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