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
갑천 생태호수공원은 개장 이후 주말에는 2만 명 이상, 평일에도 하루 평균 7000명 이상 방문하는 대전의 대표 여가 공간으로 자리매김 중이다. 하지만 교통 진입로와 주차 문제, 쓰레기 처리 등 시민들의 불편이 쌓이고 있다.
이날 방진영 의원(유성2·민주당)은 갑천 생태호수공원 진입로와 장시간 주차 문제를 따졌다. 방 의원은 "유성에서 가수원 방면으로 도안동로를 이용해 공원에 접근하려면 좌회전 또는 유턴해야 하지만 옥녀봉네거리 등 주요 교차로에서 좌회전과 유턴이 모두 금지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인근 아파트 단지나 골목길을 통한 불법 유턴이 빈번하게 발생해 지역 주민들의 안전 문제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장시간 주차 또는 차량 방치에 대해선 "공원이 무료로 개방되는 특성상 주차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며 "무료 개방 취지는 좋지만 관리 사각지대가 생기면 공원 접근성뿐만 아니라 이용 환경 전반이 저해될 수 있다. 도시공사가 개선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삼 의원(서구2·국민의힘)은 쓰레기 관리 문제를 질타했다. 김 의원은 "쓰레기통 없는 공원을 표방했지만, 실제 운영은 현실과 맞지 않는다"며 "방문객 규모에 걸맞은 공원 관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김 의원은 현재 운영 실태에 대해 "공원 곳곳에서 음식물 찌꺼기와 일회용품 등 각종 쓰레기가 반복적으로 방치되고 있다"며 "특히 주말의 경우 남겨진 쓰레기가 주차장 한쪽에 며칠씩 쌓여 있는 건 명백한 관리 부실이다. 일부 시민들은 화장실에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공원은 초기 이미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제도 개선이나 시민 의식이 정착되기 전까진 대전시와 도시공사가 공원 관리에 보다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날 함께 진행된 대전시 도시주택국 행정사무감사에선 도시기본계획과 도시정비사업, 도시재생, 대전교도소 이전과 관련한 질의와 감사가 이어졌다.
김선광 의원(중구2·국민의힘)은 "트램 연계 도시재생사업이 용역 후 실질적 진전 없이 회의 중심으로만 운영되고 있다"며 "부서 간 반복적인 업무 이관으로 책임성이 흐려졌다"고 지적했다.
박주화 의원(중구1·국민의힘)은 "소규모 주택 정비사업이 장기 지연과 주민 갈등이 지연되고 있다"며 "전문성이 부족한 주민들에게 과도한 부담이 전가되고 있다. 조합설립 이전 단계부터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송익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