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충남의 해양폐기물 수거량만 2020년부터 5년간 6만7943톤(t)에 이른다. 광역단체 중 제주(49만3778t), 전남(19만7033t)에 이어 많은 양이다. 해안선 길이가 충남보다 3배가량 긴 경남의 5만2500t보다 많은 쓰레기를 수거했다. 신속한 해양쓰레기 수거·처리가 생명이지만 여건상의 제약으로 그렇지 못하다. 해양쓰레기가 해양생물을 비롯해 인간과 경제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는 의식이 부족해서다.
물리적 재활용이 물론 가장 효과적이다. 그러기 전에 수거 중심의 정책을 포기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해양폐기물을 자원화하고 재활용해 순환경제 체계로 편입시키려면 우선 해양청소선을 늘려야 한다. 충남의 수거선 0척 상태부터 해소하는 게 먼저다. 전남에 여수, 고흥, 완도 선적의 수거선이 있는 것처럼 보령, 서산, 당진 등에도 수거선 지원이 요청된다. 부유물 수거와 유출유 방제를 위한 오일펜스 등을 탑재한 수거선이 필요하다. 전용 수거선을 갖춘 광역단체도 정식 계류시설을 확보하지 않아 운항 실적이 계획에 미치지 못하는 곳이 있다.
충남도의 경우, 정부에 수거선 건조를 위한 예산 요청을 했지만 예산 배정 순위에서 밀리고 있는 것이 이해가 잘 안 된다. 우선 실시설계비라도 반영해야 한다. 베이밸리 상생 협력의 일환으로 충남도와 경기도가 해양 환경 개선에 공동 대응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환경정화 운반선(늘푸른충남호)이 그 일을 맡을 수는 없다. 해양쓰레기와의 사투는 전 지구적인 숙제다. 해양쓰레기 저감과 관련 선박 사고 방지를 위한 제도적 검토의 첫 단계는 수거선을 확충하는 일이다. 지금 같은 탁상행정 수준의 대책으로 안전하고 깨끗한 바다를 후대에 물려줄 수 있을지 의문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