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성대 권용진 교수팀, 대한화장품학회지 9월호에 논문 2편 게재./경성대 제공 |
연구에는 화장품학과 학부생 김주영, 박나현 학생이 각각 주저자로 참여해, 천연 소재의 생리 활성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며 화장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첫 번째 논문인 '주름뼈대그물말(Dictyopteris undulata Holmes)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로서 가능성 연구'에서는 울릉도 해역에서 채집된 해조류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추출물은 자유 라디칼 제거 능력이 우수했으며, 피부 유해균에 대한 억제 효과를 보여 천연 해양 소재의 화장품 응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두 번째 논문인 '갯방풍(Glehnia littoralis)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기전에 관한 In Vitro 효능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식물인 갯방풍의 항염증 기전과 산화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세포 수준에서 규명했다.
갯방풍 추출물은 염증 유도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고, 세포 염증 자극 물질(LPS) 처리로 유도된 세포의 손상된 형태를 회복시켜 피부 진정 및 보호 효능이 있음을 확인했다.
권용진 교수는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수행한 연구가 학문적 성과로 이어진 점이 매우 뜻깊다"며 "앞으로도 해양 및 식물 자원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본 연구는 교육부와 부산광역시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부산형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의 연구 결과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