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연욱 국회의원./정연욱 의원실 제공 |
박물관은 노후 수장 시설 개선과 유물 보존 환경 현대화를 위해 46억 원을 요청했지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전액 삭감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정연욱 의원은 "계획만 존재하고 실행 수단은 빠져 있다"며 "국가의 문화 기억을 다루는 기관이라면 최소한의 추진 근거는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수장 공간 부족 문제는 10년 넘게 누적된 과제다. 조치 대부분은 임시 이전이나 수장고 증축에 그쳤다. 리모델링 계획 발표는 '근본적인 수술'로 읽혔지만, 예산 반영이 무산되며 다시 제자리로 돌아간 셈이 됐다.
박물관 측은 예산 반영 실패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내지 않았으나, 내부에서는 "국가 재정 여건과 우선순위 조정 과정에서 밀렸다"는 반응이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원은 예산 문제를 넘어 문화재 보존 체계 전반의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처럼 수도권 한곳에 유물을 집중 보관하는 방식은 재난 발생 시 한순간에 국가 전체 문화재가 위험해지는 구조라며, 권역별로 분산된 수장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부산을 사례로 들며, 부산은 해양·교류의 문화 축임에도 국립박물관이 없다는 점, 부산시립박물관이 지역 역사관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그는 수장 기능을 겸한 권역형 국립박물관 설립은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밝혔다.
정 의원은 "박물관은 유물을 보관하는 창고가 아니라 기억을 저장하는 국가의 기관"이라며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보존 문제를 미루는 관행은 이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