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종환 시의원./부산시의회 제공 |
부산시의회 이종환 의원(강서구)이 제332회 정례회 환경물정책실 행정사무감사에서, 부산시로 하여금 '생곡마을 자원순환 복합타운 전면재검토'에 대한 후속계획을 제시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 의원은 "본 의원은, 부산시민과 15만 강서구민의 뜻을 받드는 시의원으로서, 그리고 2030년이면 30만 인구가 예상되는 강서지역 시의원으로서 강서주민들의 분노와 절규를 철저히 대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라고 분명하게 밝혔다.
이 의원은 환경물정책실장에게 강서구민들의 분노 어린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며 "이미 강서구는, 30년이 넘도록 매립장, 음식물 자원화 시설, 슬러지 처리장 등 온갖 시설들을 떠안고 고통을 감내해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생곡마을 자원순환 복합타운' 관련 부산시장과 김도읍 국회의원 간 '전면 백지화' 포함 사업 '전면 재검토' 협의가 있었음을 언급했다. 하지만 일부 언론에서 실무진 차원의 '행정 엇박자' 기사가 보도돼 혼선이 가중됐음을 지적했다.
이 의원은 "혼선으로 정책이 신뢰를 잃는다면, 대시민 설득력을 잃게 되며, 대시민 설득력을 잃는다는 것은 모든 것을 잃는 것임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환경물정책실장에게 지적했다.
이어 완전히 달라진 도시여건을 설명했다. 최초 기본계획 수립 당시 '2017년의 강서구'와 '현재 2025년의 강서구'는 정주환경, 도시여건 등이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완전히 달라졌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강서구는 유소년부양비가 4년 연속 전국 1위를 기록해왔다. 그는 "아기울음 소리와 유모차가 가득한, 가장 젊은 도시에 대형 소각장이라니, 가당치도 않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종환 의원은 지역주민들과 함께 부산시에 다음과 같이 주문했다. 첫째, 지역주민들이 원하는 것은 '백지화하겠다는 문서'와 '부산시의 공식적인 발표'이므로, 부산시는 대체 부지를 포함한, '구체적인 후속계획'을 하루빨리 수립하여 공식적으로 발표하라는 것이다.
둘째, 현재 운영 중인 명지소각장은 당초 계획된 데까지만 운영하고, 내구연한이 경과하는 대로 즉각 폐쇄하라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환경물정책실장은 "2017년의 강서구와 2025년 강서구의 도시 여건이 많이 달라졌음을 인지하고 있다"며 "최선을 다해서 주민들이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찾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종환 의원은 질의를 마무리하며, "앞으로도 본 의원은 지역주민의 뜻을 받드는 시의원으로서 주민들과 함께 가장 선봉에 설 것임을 분명하게 밝힌다"고 강조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1m/10d/118_20251110010008006000339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