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최강한파 다리 밑 노숙시민을 지켜라’

  • 사회/교육
  • 미담

‘올 최강한파 다리 밑 노숙시민을 지켜라’

대전 노숙인지원센터 응급구호활동 동행
얼어붙은 하천 노숙시민 음식·의료제공
세상 가장 작은집 겨울나는 이들 안전확보

  • 승인 2018-01-12 13:59
  • 수정 2018-01-12 15:24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누숙시민2
대전의 한 다리 아래서 노숙인지원센터가 응급구호활동을 펼치고 있다.
“아저씨, 따뜻한 두유와 김밥 드시고 주무세요. 침낭 필요하세요?”

집에 가려는 발걸음을 재촉하는 오후 11시 30분 대전역 지하차도 이곳저곳에 담요더미가 소복히 쌓여 있다. 기둥과 기둥 사이 또는 통로 한켠에 이불더미는 “못 본 척 지나가셔도 됩니다”라고 사람들에게 말하는 듯 발걸음에 방해되지 않는 자리에 있었다.

대전시 노숙인종합지원센터 김광현 팀장은 그런 이불더미를 하나씩 들춘다. 온기라곤 없을 것 같던 더미는 사실 세상에서 가장 소박한 집이다. 가지런히 놓인 신발이 있고 작은 가방이나 보따리가 옆에 있으며 그 안에서 누군가 휴식을 갖는다.

김 팀장이 들춘 작은 집에 인기척이 있다. 김 팀장은 부스스 몸을 일으키는 노숙시민과 눈을 마주치고 얼굴 안색을 살피고 덮은 이불은 얼마나 따뜻한지 손을 넣어보고 이내 말을 건넨다.



“저녁은 드셨어요? 간단한 요깃거리 가져왔으니 잠시 앉아서 드시고 주무세요”

온장고에서 방금 꺼낸 두유와 김밥을 건네고 그 옆에 작은집으로 향한다. 이번에는 먼저 소화제가 있으면 달라고 요청해왔다.

김 팀장은 등가방을 풀어 구급상자서 소화제를 꺼낸다.

“지난번에도 소화제 달라고 하시더니 배가 자주 불편하신가 봐요. 그러지 말고 우리 센터로 오세요. 어디가 아픈지 도와드릴 테니까요”김 팀장이 신신당부했다.

역전지하상가에서 대략 7명의 노숙시민의 안전을 확인한 뒤 대전천 일원 다다리 밑으로장소를 옮겼다.

노숙시민 사진1
대전노숙인지원센터 직원과 자원봉사자들이 노숙인을 찾아가고 있다.
‘한파경보, 노약자 외출자제’라던 긴급재난문자처럼 이날 기자의 휴대폰은 통화 중 전원이 꺼질 정도로 맹추위였고 온도계는 영하 10도를 넘나들었다. 대전천의 강물이 얼어붙었음에도 그 옆 다리 아래서는 2개의 이불더미가 있었고 그중 1 곳에 노숙시민이 잠을 청하고 있었다. 조금 더 두툼한 이불을 여러 겹 덮고 벙거지를 썼다뿐이지 기자 눈에는 한파를 맨몸으로 맞서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어 보였다.

김 팀장은 이번에도 노숙시민을 살짝 흔들어 깨워 안색을 살펴 혹시 술에 취한 건 아닌지 먼저 가늠했다. 추운 겨울에 일시적 술기운에 잠들었다가 동상을 입거나 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화에서 술기운은 느껴지지 않았고 이곳에서 계속 자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내비쳐 두유와 김밥 그리고 추위를 잠시 녹일 수 있는 핫팩을 건넸다. 언제든 실내서 잠을 잘 수 있는 긴급잠자리가 대전역 가까운 곳에 있지만, 이마저도 거부하는 때도 있다. 그래서 이날처럼 응급구호활동이 전개된다. 또 다른 다리 밑에서도 시설입소 대신 노숙을 선택한 이에게 안부를 묻고 간단한 구호물품을 전달했다.

대전시 노숙인지원센터는 24시간 운영되는 곳으로 노숙시민들의 위험요소를 예방하고 재활을 돕고 있다. 2004년 대전역 앞에서 개소해 상담사·사회복지사 등 직원 10여 명이 상주하는데 하루 평균 50~100여 명의 노숙시민이 이곳을 찾고 있다. 요즘처럼 겨울철에는 직원과 자원봉사자들이 많게는 하루 3회 응급구호 현장활동을 벌인다. 아웃리치라고 불리는 응급구호활동은 노숙시민이 모이는 곳이나 민원이 접수된 곳을 찾아 상담과 의료지원, 시설안내 등을 펼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노숙인지원센터의 부대시설로 일시보호센터를 운영 중인데 노숙시민은 언제든 실내에서 잘 수 있는 응급잠자리와 건강검진을 제공하고 재활상담을 진행한다. 남녀 분리된 공간으로 마련됐는데 아웃리치에서 만난 노숙시민들에게 응급잠자리 이용을 권유하며 재활의 길을 소개한다. 재활을 통해 탈 노숙하는 경우에는 주거지원까지 진행하는데 신규 노숙시민이 꾸준히 유입되면서 대전권에서는 지하상가, 역대합실, 다리 밑, 공원 등에 노숙시민 150여 명 규모가 유지되고 있다.

노숙시민3
이날 대전역과 서대전역의 대합실에서 응급구호활동을 벌였고, 또 다른 공원에서도 노숙시민에게 음식과 방풍용품을 지급했다. 자원봉사자 2명도 동행했는데 지난 2년간 매일같이 응급구호활동에 동참하면서 노숙시민들과 지원센터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3.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4.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5.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1.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2.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3.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4. '세종교육 대토론회' 정책 아이디어 183개 제안
  5. ‘몸짱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