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미국의 기후 정책 변화의 시사점

  • 오피니언
  • 프리즘

[프리즘] 미국의 기후 정책 변화의 시사점

김성수 충남대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장

  • 승인 2020-12-08 08:53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김정
김성수 충남대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장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다수의 주에서 선거 무효 소송을 준비하고 있지만,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문이라는 뉴스들로 미루어 보면, 위세 당당했던 트럼프 대통령, 그 역시 국민의 마음을 읽는데 실패하지 않았을까?! 우리 나라에서도 수년 전 유행했던 군주민수 (君舟民水) 라는 고사성어처럼, 물은 배를 띄울 수도 있지만 또한 엎을 수도 있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 그의 과거 여러 행보 중에는 이 '엎어진 배'에 대하여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대목도 있다.

미국의 정권 변화와 동반될 정책 변화에 따라 우리 나라와 관련된 부분에서 정부의 경제, 외교, 국방 등 관계 부처 뿐만 아니라 기업들도 대응법을 고민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표적으로 한반도와 대북정책이나, 대중국 무역정책의 변화에 따른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이 꼽힐 것으로 보인다. 그 외 분야에서도 우리 나라에 미치는 영향도를 세밀히 분석하고 적절한 대응을 모색할 것으로 믿는다.

이전 트럼프 대통령과는 거의 반대 노선을 펼쳐든 바이든 당선자의 정책이지만 그 중에서도 눈에 띄는 것이 기후변화 대응을 포함하는 에너지 정책일 것이다. 기후 변화를 불신하고 파리 기후 협약을 탈퇴했던 트럼프 행정부와 비교해 보면, 파리 국제 협약에 재가입하는 것은 물론, 온실 가스 감축 목표를 획기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1930년대 침체된 경제를 부양시키기 위한 루즈벨트 정부의 뉴딜정책처럼 세계 각국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온실가스감소 및 친환경 일자리 창출에 주력하는 것을 기조로, 기존 경제 및 산업 구조를 친환경적으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하는 그린 뉴딜 정책을 수립하고 전개 중이다. 우리 나라에서도 지난 7월 문재인 대통령의 디지털과 그린을 축으로 하여, 2025년까지 총160조(국비114.1조)를 투입하여 총190.1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목표의 한국판 뉴딜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세부적인 내용까지는 여기 다룰 수는 없으나, AI, 5G, 자율주행과 같은 디지털 기반과 신재생 에너지, 친환경 미래차와 같은 그린에너지 전환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정부의 정책 전개와 함께 이미 주식시장에서는 K-뉴딜펀드의 조성과 최근 독자 여러분들이 시황에서 자주 접하고 있는 BBIG(Battery, Bio, Internet, Game) 관련주가 성장 테마주로 지목되기도 한다. 어떤 분석에 따라서는 내년부터 EU, 중국, 미국의 '세 마리의 코끼리(three elephants)' 외에도 일본까지 포함하여 탄소배출제로를 향한 동시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처음이기도 하여, 관련된 그린 산업의 추정치들이 상향 조정되고 있는 모양이다.



지난 여름 필자가 이 컬럼에서 국가 에너지 정책의 균형감각을 언급하면서 연방정부의 과학기술자문단이었던 리처드 뮬러의 '대통령을 위한 에너지 강의' 를 인용했다. 에너지의 안정적 확보와 기후 변화와 같은 두 가지 상반된 정책 방향 사이에서의 미국의 정책기조는 뚜렷한 방향 전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 나라는 이미 이명박 정부에서 녹색성장을 모토로 국가 정책을 전개했던 시기도 있었고, 현 정부에서도 앞서 언급한 그린 뉴딜과 같이 다양하게 정책적 모색을 진행 중이다. 팩트 기반으로 서술하면, 2050년 탄소배출제로로 목표하고 있는 우리 나라의 전력 생산의 60% 이상은 화석연료이고 그 중에 반 정도는 석탄 발전소이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세계7위라고 한다. 설정된 목표로의 갈 길은 멀고, 상황은 녹록치 않다. 지난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것처럼 부적절한 월성 원전의 경제성 평가 절차가 보여준 불소통으로는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의 조율과 균형은 힘들다 . 물은 배를 엎을 수도 있지만, 띄울 수도 있다는 단순함을 잊지 않고 소통을 통한 균형을 찾아줄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김성수 충남대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민의힘 대전시당 "이재명 정부, 충청권 철저히 배제"… 이 대통령 방문 전 기자회견
  2. 충남도의회 오인철 의원, 후계농업인 미래 위한 헌신 공로 인정받아
  3. AI헬스케어부터 전통음식까지… 중소기업들 제품 홍보 '구슬땀'
  4. 대전시한의사회, 한국조폐공사와 우즈베키스탄 의료봉사 협약
  5.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1. 2025 대한민국 중기박람회 부산서 개막 '전국 중소기업 총출동'
  2. 건양대병원, 전 교직원 대상 헌혈 참여 캠페인 전개
  3. 중도일보·대전MBC,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클럽 이달의 기자상' 수상
  4. 월드비전, 아산시에 1,000만원 냉방용품비 지원
  5. 동구아름다운복지관, 폭염대비 시원한 여름나기 사업 진행

헤드라인 뉴스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이재명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타운홀미팅에서 "우리가 기억하는 박정희 시대에는 성장을 위해 결국 한 쪽으로 (자원을)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며 "고도성장기에는 성장을 위한 자원 배분이 한 쪽으로 몰릴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거의 특권 계급화된 사람들이 생겼다. 이제 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균형발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중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며 "재벌이라고 하는 대기업 군단으로 부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