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총선에서 당선된 후 황운하 국회의원(중도일보DB). |
2020년 국회의원 총선에서 원도심 국회의원이 모두 초선으로 바뀌면서 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에 ‘이제야 내 사람 심기’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직 단체장과 지방의원은 물론, 예비주자들 모두 새로운 상사(국회의원) 모시기에 분주해지면서 국회의원 지역 사무실과 행사장, 모임 등에서 눈도장 찍기가 한창 달아오르는 분위기다.
대표적인 곳은 대전 동구다. 현재 황인호 동구청장을 비롯해 동구의원 대부분은 전임 지역위원장의 영향으로 공천장을 받아 당선됐다. 하지만 전임 지역위원장이 떠나고 후임 지역위원장은 지난해 총선에서 당선된 장철민 국회의원이 맡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공천권은 장철민 의원이 틀어쥐고 있다 보니, 전임 지역위원장의 도움으로 공천을 받아 당선된 현직들은 안절부절하고 있다.
A 동구의원은 “현역 중에는 이미 내년 공천을 사실상 포기한 사람들도 있다. 대장의 눈에 들어야 하는데, 전임자의 사람으로 찍혀 있어 다시 공천받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국회의원 당선 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소감 인터뷰 영상 캡쳐(중도일보 유튜브 채널). |
중구 내 한 정치인은 "어떠한 기준으로든 평가를 통해 공천 또는 경선을 위한 예비 후보를 세울 텐데, 그 부분에 대해 아직 전달받은 건 없다"고 했다.
대덕구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박영순 국회의원이 대전시당위원장 역할까지 하고 있지만, 대덕구 내 정치적 서포터 중 굵직한 선출직은 부족하기 때문에 기반을 잘 닦기 위해 공천 후보 선정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또 박정현 구청장과 혁신도시 개발 방식 등 정책 방향이 다르다는 점 등에서 다음 구청장에 현역과 경선을 붙일만한 사람을 통해 박정현 구청장을 견제할 수도 있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지역정가 관계자는 "박영순 국회의원과 박정현 구청장의 관계에 대해 여러 소문이 돌고 있기 때문에 여러 명이 구청장에 도전장을 던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현제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