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도심 길거리 골칫거리 '인형 뽑기'

  • 사회/교육
  • 환경/교통

대전 도심 길거리 골칫거리 '인형 뽑기'

곳곳 대다수가 불법… 인력부족 등 단속 한계

  • 승인 2013-07-24 18:28
  • 신문게재 2013-07-25 6면
  • 김영재 기자김영재 기자
'크레인 게임기(인형 뽑기)'가 길거리 골칫거리로 전락했다.

크레인 게임기가 도심 곳곳에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어 각 자치구에서 단속을 하고 있지만, 이를 근절하기가 쉽지않기 때문이다.

24일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인형뽑기 등의 크레인 게임기는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의해 게임물등급위원회로부터 게임기로 등급을 받아야 한다.

크레인 게임기는 반드시 영업소 내에 설치해야 하며, 게임제공업소가 아닌 영화상영관ㆍ콘도ㆍ대형마트·660㎡ 이상의 일반음식점 등 대형시설은 5대까지, 이외의 문구점ㆍ편의점 등 일반 영업소는 2대까지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길거리에 있는 크레인 게임기는 모두 불법이라고 봐도 되지만, 단속의 손길은 미치지 못하고 있다. 실제 크레인 게임기는 유동인구가 많은 중구 은행동, 서구 둔산동, 유성구 궁동 등 유흥가 주변에서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대부분의 크레인 게임기가 시민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 규정을 위반한 채 점포 밖이나 도로, 인도 등에 설치돼 있다.

영업 업종과 관계없이 편의점, 학교 주변, 유흥가 밀집 지역 등 도심 곳곳에 무분별하게 들어서 있는 것이다.

동구에 사는 안모(33)씨는 “술에 취한 사람들이 인형뽑기를 하면서 큰 소리로 떠들어 시끄럽다”며 “민원을 넣으면 구청에서 단속을 나오지만, 이후에 다시 게임기가 설치된다”고 말했다.

이처럼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리와 단속이 요구되고 있지만, 대대적인 계도 활동은 어려운 실정이다.

일주일에 3~4번 크레인 게임기를 찾아 행정지도를 하고 있지만, 운영자들이 단속이 허술한 지역으로 옮겨 다니며 운영을 하고 있어 쉽지 않다.

단속 인력은 한 개 자치구에 1~2명뿐인데다, 크레인 게임기의 경우 신고 허가 대상이 아니어서 담당자들이 발품을 팔며 크레인 게임기를 쫓아다녀야 한다.

한 구청 관계자는 “한 개 구를 전부 돌아다니며 철거 계도활동을 하고 있지만, 인력이 부족해 쉽지 않다”면서 “운영자들이 단속이 느슨한 지역을 골라 설치하고, 사유지의 경우에는 단속권한이 없어 한계가 따른다”고 말했다.



김영재 기자 youngjae@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위기 징후 있었는데…" 대전 서구 모자 사망에 복지단체 실태 점검, 대책 촉구
  2. 구자홍 비노클래식 대표, 목원대 문화예술원장 취임
  3. 대전교육청 급식 준법투쟁 언제까지… 조리원 직종 교섭 오리무중
  4.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5. 충남대 ‘대전형 공유대학 설명회’… 13개 대학 협력 시동
  1. 대전대 HRD사업단, 성심당 재직자 직무능력 향상교육
  2.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3. [사설] 여가부 세종 이전이 더 급하다
  4. 이재명 새 정부 '국가균형성장' 정책… 혁신 비전과 실행력 선보일까
  5.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헤드라인 뉴스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 지천댐 건설 `찬성`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 지천댐 건설 '찬성'

중도일보, 대전일보, 충청투데이가 함께 진행한 '지천댐 건설 찬반 여론조사' 결과,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이 지천댐 건설에 찬성했다. 앞서 지천댐 지역협의체가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찬성표가 소폭 줄긴 했으나, 이는 조사범위 확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이번 결과에 따라 다수의 주민이 지천댐 건설을 희망하는 것으로 드러나 댐 건설 명분이 보다 명확해졌다. 중도일보-대전일보-충청투데이는 지난 11일부터 14일까지 '지천댐 건설에 대한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여론조사는 ㈜리얼미터가 수행했으며 조사 대상지는 청양..

이진숙 장관 후보 논문표절 적극 해명… 자녀 유학 공식 사과
이진숙 장관 후보 논문표절 적극 해명… 자녀 유학 공식 사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가 제기된 여러 논란을 적극 해명하면서도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의혹에 대해선 고개를 숙이며 국회 인사청문회를 정면 돌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카더라식 의혹’보다 능력과 정책 검증을 강조하며 이 후보를 엄호한 반면, 국민의힘은 시종일관 자진 사퇴를 촉구하며 맞섰다. 이 후보는 16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민주당 진선미 의원과 국힘 김대식·김민전·서지영 의원 등이 여러 의원이 질의한 논문 표절 논란과 관련, "이공계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며 의혹을 적극 해명했다. 이 후보는 "2..

세종시 소재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도 급물살...지역 반발 확산
세종시 소재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도 급물살...지역 반발 확산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나비효과가 서울시와 세종시 등으로 산재된 산하 기관의 후속 이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1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의 부산 이전이 연말로 확정되고, 입지도 부산시 동구 IM빌딩(본관)과 협성타워(별관)로 정해졌다. 이 같은 흐름이 강행 국면으로 전환되면서, 자연스레 서울과 부산 등으로 분산된 해양수산 관련 산하기관 이전안으로 옮겨가고 있다. 해수부는 이날 내부 고위 관계자 회의를 통해 이 같은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외형상 해수부와 산하 기관이 한데 모여 있어야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다는 판단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