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살롱] 문제적 작가, 사생활을 예술로 끌어올리다

  • 문화
  • 백영주의 명화살롱

[명화살롱] 문제적 작가, 사생활을 예술로 끌어올리다

[백영주의 명화살롱] 트레이시 에민_나의 침대

  • 승인 2016-08-17 01:00
  • 백영주 갤러리 '봄' 관장백영주 갤러리 '봄' 관장
▲ <나의 침대>, 1998, 에민
▲ <나의 침대>, 1998, 에민

현대로 접어들수록 미술의 범위는 지극히 넓어지고 있다. 유럽과 미국에서 시작된 개념미술이 그 대표적인 예다. ‘종래 예술관을 외면하고 완성된 작품 자체보다 아이디어나 과정을 예술이라고 생각하는 새로운 미술’. 심지어 본인의 사생활을 거리낌 없이 작품에 담아내는 경우도 이제는 흔하다. 개념미술의 토대 위에서 사생활을 소재로 가장 큰 화제를 불러일으킨 작가를 뽑는다면, 트레이시 에민을 들 수 있다.

‘고백의 여왕’이라고 불릴 만큼 자기고백적인 예술 활동으로 널리 알려진 트레이시 에민은 1963년 영국과 터키 혼혈로 7세 되던 해 부모의 사업 실패로 가족이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으며, 13세에 강간을 당한 후 집을 나와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냈다. 두 번의 낙태 수술과 한 번의 유산, 폭음과 지나친 흡연, 심한 우울증, 그리고 자살 시도 등 그는 끊임없이 자신을 파괴하는 행동을 일삼았다. 13세에 학업을 중단하였지만, 친구의 권유로 단기 예술과정에 등록하고 미술을 공부했다. 한때 뭉크와 에곤 실레의 영향을 받아 표현주의 회화를 주로 그렸지만 1992년에 모든 작품을 파기해 버렸다.

이후 새로운 스타일의 작품세계를 구축한 에민은 자기 잠재력에 20파운드를 투자해 달라는 편지를 사람들에게 보냈고, 그중 한 명이었던 제이 조플링이 자신의 갤러리에 에민이 전시회를 열 것을 제안했다. 이 첫 개인전의 이름은 <나의 회고전>이었다. 말 그대로 지극히 개인적인 트레이시 에민의 삶을 대중에게 적나라하게 보여준 첫 무대였다.


▲ <나와 함께 잤던 모든 사람들 1963-1995>, 1995, 에민
▲ <나와 함께 잤던 모든 사람들 1963-1995>, 1995, 에민

“나의 삶이 곧 예술이고 나의 예술이 곧 나의 삶”이라고 말하는 그는 1995년 <나와 함께 잤던 모든 사람들 1963-1995>로 다시 주목을 받았다. 텐트 속에 이제까지 자신과 함께 잤던 102명의 이름을 적어 넣은 이 작품은 그가 태어난 1963년부터 이 작품이 완성된 1995년까지 그와 잠을 잤던 사람들의 이름, 여기에는 남자 친구의 이름뿐 아니라 자신을 키워주신 할머니의 이름과 가족의 이름, 친구, 낙태로 인해 생명을 얻지 못한 아기의 이름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즉 성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같이 잠을 자며 느꼈던 따뜻함까지 모두 담겨져 있는 복합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1999년 터너 상 후보에 올라 수상작보다 더 많은 화제를 몰고 다녔던 <나의 침대>는 구겨진 스타킹, 빈 술병, 사용된 콘돔 등이 어지럽게 널브러져 있는 그녀의 실제 침대를 고스란히 옮겨놓은 설치미술이다. 물론 극적인 연출을 위해 치밀하게 계산된 작품일 텐데도 그녀의 ‘실제’ 침대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대부분은 숨기고 싶어할 자신의 치부, ‘실제’ 삶을 적나라하게 침대라는 소재를 통해 드러냈기 때문일 것이다. 낡은 침대와 온갖 잡동사니들로 가득 찬 그의 침대에서 오래도록 자리를 뜨지 못하는 이유는 그 안에 진실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에민은 회화, 드로잉, 콜라주, 퍼포먼스, 사진, 영화, 네온과 미디어 설치 작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를 자기 고백적인 예술에 이용해 왔다. 최근에는 2013년 네온 작품이 미국의 패션지 <하퍼스 바자>에 실리는 등 펑키하고 트렌디한 방향으로의 예술에도 깊게 발을 들이며 스펙트럼을 넓히고 있다.

/백영주 갤러리 '봄' 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마사회, 미리보는 챔피언 결정 ‘대통령배·그랑프리’ 빅매치
  2. 고양시 일산서구, 2025년 교통유발부담금 40억 원 부과
  3. 자전거로 '세종 국회·대통령실' 부지 찍고 경품 타자
  4. 걷거나 달리거나 '국회·대통령실' 한바퀴...상품은 덤
  5. 항우연 노조, 이상철 원장 사퇴 촉구 "무능과 불성실"… 항우연 입장은?
  1. 경부고속도 '상서 하이패스IC' 10월 내 개통된다
  2. 18일 나성동 차 없는 거리 '환경교육한마당' GO...경품도 풍성
  3. 아산시 곡교천, 백일홍·코스모스 등 가을꽃 만개
  4.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스무 살에 금융기관 취업한 비결은?
  5. 5개월 앞둔 통합돌봄, 새틀짜기 논의 활발 "기관 협의체 만들고 직역 협력모델을"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13일 막이 오르는 가운데 산적한 충청 현안 관철을 위한 골든 타임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전 충남 행정통합 및 공공기관 2차 이전 등 560만 충청인 염원이 본궤도에 오르도록 동력을 공급해야 하는 것이다. 국감 증인대에 서는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뿐만 아니라 충청 여야 28명 의원의 초당적인 협력과 이슈파이팅이 시급해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국감은 내년 6월 지방선거 앞 더불어민주당의 윤석열 정부 내란청산, 국민의힘의 이재명 정..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속도를 내면서 지역 정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선에 나설 후보 자격 심사 규정 준비부터 컷오프(공천 배제)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 적용 여부 등 공천룰이 어떻게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일찍이 지방선거기획단을 꾸린 뒤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후보 자격 심사 규정을 정비 중인데, 인위적인 컷오프는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청래 대표는 8·2 전당대회 과정에서 억울한 공천 배제를 막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때문에 애초 범죄 경력자 등 부..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대전 제과점이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전 대표 제과점인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주목받으면서 빵의 도시로 급부상한 데 따른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국세통계포털 사업자현황에 따르면 8월 기준 대전의 제과점 수는 663곳으로, 1년 전(632곳)보다 31곳 늘어났다. 대전 제과점 수는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8월 538곳에서 2021년 8월 594곳, 2022년 8월 637곳, 2023년 8월 642곳, 2024년 8월 632곳으로 매년 단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늘고 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