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韓中문화교류의 발전과 과제 ..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민간외교를 펼쳤다. |
주제는 '한중문화교류의 발전과 과제 -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민간외교'였다.
![]() |
韓中문화교류의 발전과 과제 ..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민간외교 |
![]() |
韓中문화교류의 발전과 과제 ..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민간외교 |
![]() |
韓中문화교류의 발전과 과제 ..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민간외교 |
역사를 정확히 인식하고 큰 틀에서 공통점을 찾아야 한다. 특히 교육 분야와 청소년 교류 및 인터넷 정보를 긍정적으로 유도하며 미디어를 활용하여야 하고 민간단체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하여 민간교류를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2발제자 장치순 교수는, 한중간의 문제점을 나열하고 한중유학현대화공동연구소 설립과 한중유학사상세계화공동본부 설치, 동북아 평화영구달성을 위한 한반도 영세 중립화 통일국가 건설을 위한 유엔 내 기구설치에 중국의 협조를 제안 했다
토론에 나선, 중국 절강수인대 김병운 교수(절강성 중·한경제문화교류회장)는 한중수교 20 주년 행사와 25주년 행사를 비교하면서 사드로 인하여 300여 곳에 달하는 중국의 대학교 한국어과 학생수가 감소하고 있는 현상에서 보듯 양국의 사회적 비용손실은 수십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끝이 보이지 않는다. 하면서 대안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장영동 교수는 북경대학에 차문화공동연구소 설치를 제안하며 고성배 회장이 주장하는 한국공자문화촌 조성에 협조의 부탁도 나왔다.
한국차문화연합회 고성배 회장과 북경대학 한국학연구중심 심정창 주임은, 내년 상반기 북경대학에서 다시 심포지엄을 열고 양국의 차문화를 소개하는 행사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이날 국회에서는 심포지엄을 빛내기 위하여 한중미술협회(회장 차홍규 前청화대학 교수) 20인 작가초대전도 있었다.
한국차문화연합회와 북경대학 한국학연구센터는 9.23 북경대학에서 MOU를 체결한바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