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탄천 수질은 지난 2005년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이하 BOD) 5.2㎎/L(약간 나쁨, IV등급)에서 2.1㎎/L(약간 좋음, Ⅱ등급, 2016년 기준)로 개선됐다.
![]() |
아울러 지난 2010년부터 운영 중인 탄천 환경학교를 통해 3만 4천여 명이 교육·캠페인에 참여했으며, 시민, 전문가, 시의원 등이 참여한 '탄천 미래발전위원회'를 구성했고, 올 2월에 수질보전활동 지원 조례를 제정한 점 등을 높이 평가했다.
이번 생태하천복원 우수사례 경연에서는 오산시 오산천이 우수상으로 부천시 심곡천, 수원시 서호천이 장려상으로 선정됐다.
올해 최종 선정된 전국 총 6개의 하천 중 4개 하천이 한강청 관내에서 최우수 1개, 우수 1개, 장려 2개 각각 선정 됐다.
평가방식은 시·도 추천과 유역(지방)환경청 1차 평가, 학계·전문기관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의 최종 평가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질 개선과 수생태계 복원 효과 및 복원 후 사후관리 분야에 주안점을 두고 우수사례를 평가했다.
뿐만 아니라 우수상인 오산시 오산천은 유입 지류의 오염물질을 저감시켜 수질을 개선하고, 본류와 지류를 연계한 하천의 종·횡적 연속성을 확보하여 수생태계 건강성을 회복했다.
지류인 대호천과 가창천, 오산천 본류의 수질을 연계하여 개선한 결과, BOD가 8.2㎎/L(나쁨, Ⅴ등급)에서 4.0㎎/L(보통, Ⅲ등급) 수준으로 개선 되어 천연기념물인 원앙과 황조롱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새매 등 조류(鳥類)의 종수가 대폭 늘어났고 어류, 저서생물 등도 종수가 증가하는 등 생물다양성이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7개 단체·기업을 통해 담당 구간별로 오산천 돌보미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환경단체·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덩굴식물 등 위해식물 제거와 수질정화활동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12년부터는 매년 4~5회 동자개 등 토종 어류의 치어를 방류하고 있다.
또한 장려상인 부천시 심곡천과 수원시 서호천은 지역과 하천별 특성을 살린 독창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역주민이 스스로 하천관리에 참여하는 등 하천의 수질개선 및 수생태계 복원에 최선을 다하는 것으로 평가를 받았다.
한편 한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 올해 수상한 하천들의 우수사례를 활용하여 신규사업 선정 및 사업관리 등에 적극 반영하여 한강유역 하천의 수질개선과 주민복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우수사례에 선정된 지자체는 오는 23일 대전에서 열리는 '생태하천복원사업 워크숍'에서 환경부 장관상과 최우수상의 성남시는 1천만원의 상금을 받을 예정이다.
성남=이인국 기자 kuk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