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대전경찰, 웨어러블 폴리스캠 도입 서둘러야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대전경찰, 웨어러블 폴리스캠 도입 서둘러야

방원기 사회부 기자

  • 승인 2018-03-21 10:39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방원기
대전에서 태어난 한 청년은 어릴적 꿈이 '경찰'이었다.

범죄를 예방하고 치안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경찰의 모습이 멋있었다고 한다. 여러 일련의 과정을 거쳐 드디어 경찰이 된 이 청년은 지역의 한 지구대로 배치를 받았다.

그가 오랜 기간 꿈꾸던 경찰의 모습은 술에 취한 시민 앞에서 번번이 무너져내렸다.

주점에서 행패를 부린다는 연락을 받고 출동해 제지하는 과정에서 돌아온 건 욕설이었다. 술에 취해 욕을 하는 모습은 폭언에 가까웠다고 한다. 이럴 때면 부모님이 자랑스럽게 그의 이야기를 주변에 하는 모습을 떠올리며 참곤 한다. 하지만 한계에 다다르는건 그가 경찰이기 이전에 '사람'이기 때문이다.



출동한 경찰관에게 욕을 하고, 폭행을 하는 공무집행방해가 도를 넘고 있다. 대전만 해도 2016년 423건에서 지난해 334건, 올해는 2월 현재 39건이 발생했다.

여기에 경찰이 훈방 등으로 입건하지 않은 상황까지 더한다면 현장에서 경찰관에게 벌어지는 폭언과 폭행의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엔 입에 담지 못할 욕설을 내뱉고, 팔을 밀치고, 머리로 출동한 경찰의 코를 들이받은 사건이 있었으며, 술에 취한 자신을 집에 데려다주는 경찰의 발을 수차례 때리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그러나 이런 사건을 겪고도 경찰은 대처할 방법이 미진하다. 혹여나 소송에 휘말릴까 두려워서란다.

지난해 서울에서 발생한 폭력사건을 보면 강경 대응 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지난해 서울의 한 지구대 소속 경찰이 술에 취한 행인이 휘두른 주먹을 막으려다 상해를 입혀 합의금과 치료비 명목으로 5300만원을 물어준 사례가 있어 제대로 된 대처가 어렵다고 토로한다.

경찰청은 옷깃에 블랙박스를 설치하는 '웨어러블 폴리스캠'을 도입하기로 했지만 대전은 아직 '제로'다. 대전청, 일선서, 지구대 등 단 한 대도 없다. 도입이 하루 빨리 이뤄져야 함에는 틀림없다. 경찰의 모든 행동을 하나하나 녹화하고, 시민들의 사생활을 침범할 수 있을 것이란 우려도 있다.

출동 땐 키고, 아닐 땐 꺼두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된다면 누구나 고개를 끄덕거릴 수 있지 않을까. 웨어러블 폴리스캠 도입은 필요하다. 누구보다 열심히 시민들의 안전을 책임지는 이들의 마음에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서라도.

방원기 사회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댕댕이들 여기 다 모였다! 2025 대전펫&캣쇼 첫날 표정
  2. 청남대 이어 '국민 품으로' 청와대...거스를 수 없는 대의
  3. 경찰, 가세로 태안군수 자택·군청 압수수색
  4. KT&G 상상마당 10일 '2025 놀빛시장' 개최
  5. 산인공 충남지사, 충청남도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과 지역산업 육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1. 세종시 전의산단 입주기업 협의회, 지역 주민 초청 간담회 개최
  2. 육군 제32보병사단, 2025년 지상협동훈련 진행
  3. 한국타이어 1분기 매출 133.3%↑, 영익 11.1%↓ '한온시스템 편입 영향'
  4. 천안 다가동 예식장 연회장서 천장 마감재 떨어져 하객 10명 부상
  5. 5월 10일 부강면 노호리에 가면...금강뷰 문화공연 풍성

헤드라인 뉴스


`고향서 100일` 부석사 불상 日 귀양길…"그곳서 일본 양심 깨우길"

'고향서 100일' 부석사 불상 日 귀양길…"그곳서 일본 양심 깨우길"

충남 서산 부석사에 모셔져 신자들이 친견법회를 가진 금동관세음보살좌상이 5월 10일 이운 법회를 마치고 일본으로 돌아가는 여정에 올랐다. 신자들은 지난 100일 정성으로 봉양한 불상을 떠나보내는 슬픔과 복받치는 감정을 억누른 채 오히려 그곳에서 일본 국민의 마음을 움직이는 계기가 되어 돌아올 수 있기를 기원했다. 10일 오전 부석사가 있는 서산 도비산은 짙은 안개와 함께 강한 바람으로 좀처럼 보기 어려운 악천후 속에서 이운 법회가 개최됐다. 이날 부석사 설법전에는 신자 50여 명과 조계종 중앙종회의장 주경 스님과 수덕사 주지 도신..

의대생 8305명 유급, 46명은 제적… 수업참여 34.4% 그쳐
의대생 8305명 유급, 46명은 제적… 수업참여 34.4% 그쳐

전국 40개 의과대학 재학생 46명이 제적되고 8305명이 유급 대상자로 확정됐다. 학기 말 성적경고 예상자 등을 포함하면 1만 2767명에 달해 수치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9일 교육부가 발표한 '전국 40개 의과대학 유급 및 제적 대상자 현황'에 따르면, 의대생 1만 9475명 중 42.6%에 해당하는 8305명이 유급, 0.2%인 46명이 제적될 예정이다. 예과 과정에 유급이 없는 대학의 경우, 2025학년 1학기 이후 성적경고 예상 인원은 3027명(15.5%)으로 나타났다. 또 1학기 등록 시 1개 과목만 수강 신청해..

청남대 이어 `국민 품으로` 청와대...거스를 수 없는 대의
청남대 이어 '국민 품으로' 청와대...거스를 수 없는 대의

2022년 5월 10일 전면 개방과 함께 국민 품에 안긴 지 3주년을 맞은 '청와대'. 영욕의 상징으로 통한 청와대의 미래지향적 선택지는 어디일까. 6월 3일 대선 국면에선 다시금 권력의 품으로 돌아가려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청와대 방문객 수가 부쩍 늘고 있다. 운영 주체인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청와대 재단은 이 같은 여건 변화와 관계 없이 일상적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중도일보는 '국민 vs 권력' 사이에서 기로에 선 청와대 개방 3주년을 재조명하고, 대통령실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필요성에 무게를 싣는 내용을 중심으로 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

  • 성심당과 함께 선거빵 출시…‘함께 투표해요’ 성심당과 함께 선거빵 출시…‘함께 투표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