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은 아프리카 4개국 대상으로「아프리카 지방행정역량 강화과정을 운영한다. |
【 국가별 참가인원 : 세네갈(1), 카메룬(5), 코트디부아르(5), DR 콩고(5)】
자치인재원은 한국국제협력단과 2017년부터 아프리카 국가를 대상으로 3개년도 초청 연수사업을 시작해 총 34명의 수료생을 배출했고, 우간다, 탄자니아, 이집트 등 단일국가 과정도 2002년 이후 지속해서 실행해 오고 있다.
【 우간다('12∼'16, 82명), 탄자니아('07∼'15, 129명), 이집트('04∼'11, 77명) 등 단일국가 과정 외 아프리카 27개 국가 127명 수료생 배출】
아프리카 다 국가 연수과정은 정부의 국정과제와 아프리카 현지 수요를 고려해 지역개발과 정부 혁신을 주제로 아프리카 지역의 지방행정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현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방행정과 자치분권, 행정의 투명성 확보 전략, 경제개발과 인프라 정책, 한국의 지속 가능한 농업발전전략 등 지방행정 발전 방향에 관한 교육을 실행하고, 특히 지역균형개발 사례와 새마을운동 세계화 전략을 공유하고 한국의 경제성장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포항제철소, 부산항만공사, 새만금 홍보관 등을 견학할 예정이다.
이번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아프리카 4개국은 아프리카 서부 대서양 연안에 자리해 있고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많아 농업이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농업 및 항만개발을 국가발전전략으로 수립, 운영하고 있다.
아프리카 교육생들은 완주 혁신도시에 있는 농업진흥청, 농식품 인력개발원을 방문해 최첨단 영농기술과 스마트 팜을 견학하게 된다.
또한 새만금 홍보관을 방문해 우리 기술로 설계 완공된 세계 최장(33.9km)의 새만금 방조제 및 시설현황과 향후 활용계획 등을 청취하고 시설 현장도 견학하게 된다.
세네갈 등 아프리카 4개국은 한국의 가전제품과 자동차, 컴퓨터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경제성장 및 소득수준 향상으로 향후 제품의 수요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박재민 지방자치 인재개발원장은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경험이 아프리카로 확산, 참가국의 지속 가능한 개발에 기여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전주=정영수 기자 jys995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