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개강을 앞두고 국내 입국하는 유학생들을 2주간 격리 수용한다는 계획이지만 중국인 유학생이 많은 일부 사립대의 경우 기숙사 수용에 한계가 있는 데다 대전의 경우 지자체 숙박시설을 이용할 수도 없어 유학생 수용을 놓고 대학가의 고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부 교수단체들은 정부가 중국 유학생의 입국을 전면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다.
17일 대전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대전 내 중국인 유학생(어학연수, 대학, 대학원, 기타 포함)은 총 3991명으로 내달 개강을 앞두고 유학생들의 입국이 본격화되고 있다.
지역 대학들은 교육부 권고에 따라 개강을 2주씩 연기해 내달 16일부터 신학기를 시작할 방침을 세워놓고 국내 입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숙사 격리 수용을 한다는 방침이다.
문제는 외국인 유학생이 많은 일부 대학의 경우 자체 기숙사로는 격리 수용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대전지역 중국인 유학생 가운데 1/3가량인 1164명의 중국인 유학생이 재학중인 우송대의 경우 전체 기숙사 834실로는 중국인 유학생 수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우송대는 개강을 내달 16일까지로 2주 늦추고 4주간은 현지에서 온라인 강의로 진행한다는 계획이지만, 코로나 19가 4월까지 누그러지지 않을 경우 2주간의 격리 수용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364명의 중국인 유학생이 재학 중인 배재대도 기숙사 4개 동 가운데 1개 동을 유학생 격리 시설로 지정했지만 44명을 수용할 수 있는 해당 기숙사 수용 규모로는 유학생들을 모두 배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충남대도 759명(2019년 현재)의 중국인 유학생을 기숙사 1개 동에 격리 수용한다는 방침이지만 전체 유학생을 수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데다, 강제성도 없어 상당수 학생이 학교밖 자율 격리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교육부가 기숙사 수용에 한계가 있을 경우 지자체 소속 숙박 가능시설을 사용토록 한다고 했지만, 대전의 경우 이 같은 숙박 시설이 여의치 않다는 점이다.
실제로 대전의 경우 확진자를 수용할 수 있는 임시 격리 시설은 지정돼 있지만 유학생을 수용할 수 있는 숙박시설이 따로 없다. 시 소속의 대전인재개발원이 34실, 유스호스텔이 29실에 불과해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설명이다.
이렇게 상황이 심화되면서 각 대학은 정부차원에서의 지원과 관리를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대학교수협의회(한교협)는 17일 보도자료를 내고 "대학 개강 연기 일관성 유지와 중국 유학생 등 외국인 입국의 전면금지 요구를 다시 한 번 문재인정부에 강력 요구한다"고 밝혔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