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에서 제시한 단계별 격리병동 활용계획서 신가람 기자 shin9692@ |
대전시가 24일 발표한 코로나19 대응 '단계별 격리병동 활용계획'을 보면 국가지정병원인 충남대병원은 1단계에 기존의 8병상에서 3병상 추가해 11병상을 가동하고 있다.
단계별 구분은 환자 수 증가에 따라 단계가 격상되며 2단계의 지역 내 거점병원 분류에서는 건양대병원 3병상, 대전성모병원 1병상을 추가해 4병상이다.
또한, 같은 2단계에서 감염병 관리기관은 대전선병원의 1병상, 대전 보훈병원 응급실 1병상을 포함해 대전 내 총 음압 병상은 17병상이 구축돼 있다.
이어 3단계에 이르러서는 충남대병원을 다시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분류해 일부 병동의 4병상(2인실), 36병상(6인실)은 코호트 격리병상으로 가동할 예정이다. 코호트 격리병상은 감염 질환 등을 막기 위해 감염자가 발생한 의료 기관을 통째로 봉쇄하는 조치를 가리킨다. 즉, 환자와 의료진 모두를 동일 집단으로 묶어 전원 격리해 감염병 확산 위험을 줄이는 방식이다.
이처럼 사항을 단계별로 분류해 대전시는 초기대응에 들어갔지만, 대구지역과 같이 확진자가 다수 발생할 경우에는 감염자 수용 능력 부족으로 인해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의 나온다.
이에 대해 대전시 관계자는 "환자 수 증가에 대비 음압 치료 병동으로 확보한 17병상뿐만 아니라 코호트 격리 40병상을 구축했다"며 "이후 감염 사태가 더 커질 경우를 대비해 164병상 규모의 제2시립요양병원을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신규 지정해 운영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대전 지역 종합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충남대병원 4명, 건양대병원 2명, 성모병원 1명, 선병원 1명 총 8명에 불과하다.
지역 종합병원 관계자는 "감염내과라는 분과 자체가 배출이 적게 되는 전문의이긴 하다"라며 "지방에서 감염내과 전문의가 한두 명 있다는 건 굉장히 많은 편에 속하고 이런 때(코로나19)를 대비해 많은 인력을 미리 채용할 수도 없을뿐더러, 지방에는 오지도 않으려 하는 상황이다"라고 전했다.
이처럼 한정된 인력 내에서 확진자까지 갑자기 늘어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감염자 격리시설 부족 현상뿐만 아니라 추후 의료진 인력난 부족 현상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대전시는 24일 오전에 진행한 코로나19 심각 단계 대응 브리핑 자리에서 "치료인력 확충이 필요한 경우 의료단체인 대전시의사회, 대전시약사회, 간호사회와의 협력을 진행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