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쏠린 눈… 바이러스융합연구단 "최대한 빨리"

  • 경제/과학
  • 대덕특구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쏠린 눈… 바이러스융합연구단 "최대한 빨리"

17일 질본으로부터 분리 주 받아 연구개발 시작
민간연구소 등과 진단·치료제 협업 연구 추진
"가능한 빨리 연구 성과… 시기는 조심스러워"

  • 승인 2020-02-24 15:58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n1_pic_cevi
코로나19 확진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 출연연을 중심으로 대학, 민간연구소가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치료제 개발에 전 국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 출연연을 중심으로 대학, 민간연구소가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4일 한국화학연구원과 신종바이러스융합연구단(CEVI) 등에 따르면 지난 17일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코로나19 바이러스 분리 주를 전달받아 코로나19 진단과 백신, 치료제 개발에 착수했다. 연구단은 당일 배양 증식을 시작해 증식 과정서 확보된 바이러스의 성분으로 유전자 진단 쪽에 활용하고 있다.



연구단에 소속된 한국화학연구원 김홍기 박사는 "바이러스를 많이 불려서 증식시킨 다음에 필요한 진단과 백신 개발과 치료 각 분야 연구에 사용한다"며 "바이러스 양도 충분히 있어야 하고 실험 선별하는 준비도 필요하기 때문에 최대한 가능한 빨리 확보하고 실험하려 한다"고 말했다.

연구단은 현재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등 바이러스 특성을 연구하고 있는 연구기관과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치료제 개발은 파스퇴르연구소와 역할을 분담해 추진 중이며 MOU를 맺은 웰스바이오와 앱클론은 진단 분야 연구를 함께 수행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늘어난 상황에서 전 세계적으로 바이러스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다. 연구진은 코로나19 항바이러스력 유무를 선별할 수 있는 저분화 화합물을 선별해 기존 FDA 승인 약물 중 효능 있는 약물을 재창출 용도 변경하는 데 나설 계획이다. 중국에서 사용 중인 에이즈 치료제의 코로나19 효능에 대해서도 검증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단은 코로나19 확산세에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연구 성과를 내기 위해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성과 도출 시기를 밝히는 데는 조심스런 입장이다.

연구단 관계자는 "연구 수준에서 가능한 빨리 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며 "개괄 타임라인은 있지만 여러가지 얽혀 있는 부분이 있어 언제 연구 성과가 난다고 하기엔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16년 설립한 한국화학연구원 신종바이러스융합연구단(CEVI)은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국내서도 고위험 불특정 바이러스 발생 가능성이 커지면서 2016년 바이러스의 진단, 백신, 치료, 확산방지 등 종합적인 연구 시스템 구축을 위해 설립됐다. 화학연을 비롯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 8개 정부 출연연 연구원 64명이 화학연 내 바이러스 실험연구실서 바이러스를 연구하고 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