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조선의 한류, 달마도(疸磨圖)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조선의 한류, 달마도(疸磨圖)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19-07-26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아주 오래 전, 전시회를 위해 대만에 간 일이 있다. 당시 세계적으로 알려진 강일함 화백이 환대해 주었던 기억이 새롭다. 작품을 일일이 품평해 주고 함께 간 우리일행 모두에게 중국 정통 요리를 사 주었다. 특별하고 맛있었지만 무슨 요리인지 지금도 알지 못한다. 꽤 오랜 시간 함께 했고 당시, 대만 문화대학에 유학중이던 K교수가 통역 해주었으나, 대화 내용을 잘 알지 못한다. 필자 작품 보고, 중국 명대 절파 그림 운운했던 기억은 남아 있다.

그 때에 중국 미술사를 꿰뚫고 있진 못했다. 화법 공부로 많은 그림을 보고 음미하기 때문에, 몇몇 절파화가 작품이 머리를 스쳤다. 감히 절파화가 작품과 견줄 바는 못 되지만 유사점 또한 쉽게 그려지지 않았다. 왜 자기 나라 그림과 비교할까? 괜한 자존심, 옹졸한 탓이겠지만, 심정적으로 불쾌감도 없지 않았다. 돌아와 한 번 더 돌아보게 됐다. 당시 동양의 미술 사조라는 것도 그렇다, 뚜렷하게 주의주장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궤를 같이 했던 것도 아니다. 작가들 간에 연관성이 많았던 것도 아니다. 훗날 정리하다 보니 그렇게 분류된 것은 아닐까? 다 그런 것도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필묵이 자유분방하고 거칠거나, 산수를 인물의 배경으로 사용한 것 등이 특색이라면 특색이랄까?

한편, 이제 막 작가의 길에 들어선 젊은이들을 따뜻하게 맞이해준 강일함 화백의 품성,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작품을 지도해주는 다정다감한 자세, 해박한 지식과 안목이 퍽 인상적이었다. 귀감이 되어 지금도 종종 되뇌게 된다.

다른 장르와 달리 미술로 당대에 인기 작가가 되는 것이 쉽지 않다. 동서고금이 다르지 않다. 더구나 작품으로 돈을 번다는 것은 언감생심(焉敢生心) 기대하기 어렵다. 화가를 푸대접하는 시대인 조선 중기에 그런 화가가 있었다. 바로 천재화가, 신필이라 일컫던 김명국(金明國, 생몰미상, 도화서 화원 및 교수)이다.



지금도 공무원 직제를 보면 행정직 중심이다. 여타 직종은 진급에 한계가 있다. 조선시대는 더 심했다. 화원은 종6품이 한계품직이었다. 종6품 교수를 지내고 한계품직을 넘어 정6품 사과를 지내기도 했다. 천시 받아 생애나 후손에 대해 전하는 내용이 많지 않아 안타깝다. 남긴 작품도 많지 않다. 일본에 전하는 13점을 포함 30점이 채 안 된다. 의궤에 적은 이름까지도 명국(明國), 명국(命國), 명국(鳴國) 등 세 가지를 쓰고 있다. 안산김씨 족보까지 뒤진 자료도 보았으나 생몰 등 의견이 분분하다. 스스로 취옹(醉翁)이라 할 정도로 워낙 술을 좋아 했다. 한 번에 몇 말씩 마실 정도 대주가로 술에 취하지 않고는 붓을 잡지 않았다 전한다. 하여 술에 얽힌 이야기, 기행과 호방한 성품이 담긴 짧은 일화만 여기저기 전 할 뿐이다.

술에 취하면 걸작이 탄생했으며, 술독을 가지고 가면 그림을 청할 수 있다 할 정도였다 한다. 도화서 화원은 직업 화가이다. 나라의 크고 작은 일을 그림으로 남기는 것이 주 임무다. 뿐만 아니라 건물의 도색 등 나라의 제반 화사 업무를 총괄 하였다. 양식화된 그림을 그리는 일로, 자신의 주체할 수 없는 창조적 열정을 술로 풀지 않으면 안 되었을 것이다. 당시 사람들은 그를 주광(酒狂)이라 불렀다 한다.

절파 화풍과 안견풍의 영향을 받았다고 전한다. 선종화(禪宗畵)에도 능했다. 남아 있는 작품을 통하여 쉽게 알 수 있다. 선종화는 일본에서 선화(禪畵)라고도 한다. 선종의 전법은 직관적으로 얻고 전하는 것에 있다. 정신적 체험의 경지를 직관적 시각의 세계로 인도하는 것이 선종화이다. 선승의 수행법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여타 불교회화와 달리 수묵위주, 형식적인 대부분을 생략하는 감필減筆로 그린다.

달마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노엽달마도, 지본수묵, 58×83 cm
그 유명한 달마도를 보자. 그야말로 일필휘지로 그려 나갔다. 한 점 실수도 없어 보인다. 빠른 묵선 몇 개를 그었지만 생동감이 넘친다. 자세와 표정에서 구도자의 내면이 절로 느껴지지 않는가? 달마는 인도불교 28대 교주로 중국에 건너가 선종을 가르쳤다 한다. 선종이 뭔지 몰라도 그림에서 강한 깨달음 같은 느낌이 전해 오지 않는가?

임진왜란 이후, 일본 막부의 관계회복을 위한 끈질긴 요청으로 파견되기 시작한 공식 외교 사절단이 통신사(通信使)이다. 일본에서는 조선통신사라 불렀다. 우호관계 유지, 선진문화의 전달창구로 사용 하였다. 일본에서도 통신사의 모습을 많이 그려 전하지만, 우리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일행에 화공을 대동시켰다. 예전에도 부정이 다르지 않아 통신사 일행이 밀거래창구가 되기도 하였다. 그런 연유로 동일인을 2번 보내지 않았다 한다. 1636년과 1643년, 유일하게 2번 다년 온 사람이 김명국이다. 김명국 그림이 일본인에게 워낙 인기가 높아 2번째는 일본 요청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한다. 수많은 사람이 돈을 싸들고 대기했던 모양이다. 일화에 의하면 지쳐 쓰러질 정도로 많은 그림을 그려 주었다 한다. 지금의 한류열풍 이상이었나 보다.

항상 그런 생각을 한다. 창조력과 상상력을 먹고 사는 작가가 그렇지 않은 사람의 통제를 받는 것은 우스꽝스런 일이다. 잘나가는 경영인의 중요 요건 중 하나가 창의력이다. 창의력 면에서 조족지혈인 정치인들이 기업을 좌우하는 것은 코미디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2.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3.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4.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5.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1.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2.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3. ‘몸짱을 위해’
  4.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 지역 노사 엇갈린 반응… 노동계 "실망·우려" vs 경영계 "절충·수용"
  5. 대전상의-대전조달청, 공공조달제도 설명회 성료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