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화재보란, 화재가 아닌데 화재로 인식하여 소방시설이 작동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비화재보는 조리·흡연 등 외부 환경적 요인과 배선의 전자파 장해, 장기간 습기에 노출, 경년변화 등 내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며 특히 습도가 높은 여름철과 난방으로 인한 외부온도차가 심한 겨울철에 빈번하게 발생한다.
부여소방서 관계자에 따르면 1월부터 7월까지 비화재보로 인한 오인출동 건이 총 46건이나 돼 심각한 소방력 낭비를 초래했다.
이에 소방서는 비화재보가 자주 발생되는 시설 22개소를 선정해 소방시설 유지관리 실태조사 점검반을 구성하고 ▲현지조사를 통한 원인 분석 ▲오작동 방지를 위한 관계자 권고사항 안내 및 교육 등 비화재보 개선대책을 실시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군민들의 안전 불감증 및 소방력 공백 해소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전했다.
김장석 부여소방서장은 "여러 번 거짓으로 화재경보가 울리면 '늑대와 양치기 소년'의 우화처럼 화재경보기에 대한 믿음을 잃어버려 실제 화재가 발생하여도 적시에 대처·대피하지 않고 있다가 소중한 생명을 잃을 수 있다"며 "이번 개선대책을 추진하여 관내 건축물 소방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에 만전을 기할 것이며 군민 또한 자제척인 경보설비 점검 등을 실시하여 비화재보 방지에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부여=김기태 기자 kkt05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