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축구 폐막]한화, 예상 '꼴찌'… 결과 '4강'

  • 사람들
  • 뉴스

[프로야구·축구 폐막]한화, 예상 '꼴찌'… 결과 '4강'

  • 승인 2001-10-30 00:00
  • 신문게재 2001-10-30 6면
  • 김형석김형석
대전팬 51% 증가…관중몰이에도 성공

김태균 발굴-장종훈·송진우 기록 행진

프로야구 결산 상

한화로서는 올해 '성적'과 '관중'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 모두 성공한 한 해였다.



물론 우승까지 도전한다는 각오였지만 시즌 개막전 목표는 '4강 진입'을 통한 포스트시즌 진출. 한화는 결국 한국 프로야구 사상 가장 치열했던 4위다툼에서 최후의 승자로 남으며 이 목표를 달성했다. 또 올 시즌 총 관중수 23만 3374명을 기록, 목표로 했던 관중수 19만 8000명도 무난히 넘어섰다.

성적

시즌 개막을 앞둔 한화의 예상성적은 '최하위권'. 그도 그럴 것이 마운드의 기둥이던 정민철과 구대성이 빠진 데다 눈에 띄는 대형 신인선수도 없었다. 또 주전 선수들의 고령화와 부상은 전문가들이 최약체팀으로 꼽는데 충분한 조건들이었다.

하지만 막상 뚜껑이 열리자 상황은 달랐다. 김수연과 송지만, 데이비스 장종훈, 김종석. 이영우 등이 이끄는 타선은 마운드의 . 약점을 보완하기에 충분했으며 송진우와 김정수, 한용덕은 '노장 투혼'을 발휘하며 후배들을 독려했다. 여기에 시즌 중반부터 주전으로 뛰기 시작한 김태균이라는 '신인거포'를 발굴해 낸 것은 올 시즌 최대의 수확으로 꼽힌다.

특히 치열한 4강 다툼의 혼전에서 마무리와 선발을 오가는 송진우의 쾌투와 고비때마다 한 방을 터뜨린 김태균의 활약은 팀을 포스트시즌까지 진출시키는데 견인차 노릇을 했다. 총 133경기를 치른 한화의 올 성적은 61승 68패5무(승률 0.473).

올 시즌 프로야구는 관중수로만 보면 인기회복에 다시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양대리그 체제에서 2년 만에 다시 단일리그로 복귀한 제도상의 변화도 있었지만 그 어느 해보다 치열한 4위 다툼이 관중몰이에 성공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거기에 이종범의 복귀도·크게 한 몫 했음은 물론이다.

포스트시즌을 뺀 총 관중수는 299만 1063명. 지난해 관중수 249만 1360명에 비해 19%가 증가했다. 한화의 관중 증가수는 이에 비하면 괄목할 만하다. 한화는 23만 3374명으로 지난해 관중수 15만 5284명에 비해 무려 51%나 증가했다. 311%가 증가한 기아와 111%의 증가율을 보인 SK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증가율이다. 한화는 지난 5월 20일, 홈 20경기 만에 10만 명을 돌파한데 이어 시즌 중반인 7월 5일 지난해 관중수 15민5234명을 돌파해 일찌감치 '흥행성공'을 예감했다.

기록

한화선수들은 '풍요속 빈곤'으로 평가받는 올 시즌 프로야구 기록실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그 중심에는 한화의 간판스타인 장종훈과 송진우의 몫이 컸다.

'기록의 사나이'장종훈은 데뷔 이후 올 시즌까지 1689경기에 출장, 김광림이 갖고 있던 통산 최다경기출장 기록(1630경기)을 갈아 치웠다. 또 프로야구 사상 처음으로 1600안타, 1000타점을 돌파하는 신기록 행진을 이어갔으며 14년 연속 두자릿수 홈런을 기록했다.

송진우도 프로 첫 2000이닝(총 2030이닝과 3분의 2) 투구를 돌파하며 최다이닝투구와 최다 타자 상대 (8597명) 기록을 깨뜨렸다. 여기에 프로 첫 투수 끝내기 안타(6월 3일 청주·LG전)까지 쳐내며 야구 보는 재미를 더했다

###김형석 기자, khs@joongdo.co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댕댕이들 여기 다 모였다! 2025 대전펫&캣쇼 첫날 표정
  2. 청남대 이어 '국민 품으로' 청와대...거스를 수 없는 대의
  3. 경찰, 가세로 태안군수 자택·군청 압수수색
  4. KT&G 상상마당 10일 '2025 놀빛시장' 개최
  5. 산인공 충남지사, 충청남도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과 지역산업 육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1. 세종시 전의산단 입주기업 협의회, 지역 주민 초청 간담회 개최
  2. 육군 제32보병사단, 2025년 지상협동훈련 진행
  3. 한국타이어 1분기 매출 133.3%↑, 영익 11.1%↓ '한온시스템 편입 영향'
  4. 천안 다가동 예식장 연회장서 천장 마감재 떨어져 하객 10명 부상
  5. 5월 10일 부강면 노호리에 가면...금강뷰 문화공연 풍성

헤드라인 뉴스


`고향서 100일` 부석사 불상 日 귀양길…"그곳서 일본 양심 깨우길"

'고향서 100일' 부석사 불상 日 귀양길…"그곳서 일본 양심 깨우길"

충남 서산 부석사에 모셔져 신자들이 친견법회를 가진 금동관세음보살좌상이 5월 10일 이운 법회를 마치고 일본으로 돌아가는 여정에 올랐다. 신자들은 지난 100일 정성으로 봉양한 불상을 떠나보내는 슬픔과 복받치는 감정을 억누른 채 오히려 그곳에서 일본 국민의 마음을 움직이는 계기가 되어 돌아올 수 있기를 기원했다. 10일 오전 부석사가 있는 서산 도비산은 짙은 안개와 함께 강한 바람으로 좀처럼 보기 어려운 악천후 속에서 이운 법회가 개최됐다. 이날 부석사 설법전에는 신자 50여 명과 조계종 중앙종회의장 주경 스님과 수덕사 주지 도신..

의대생 8305명 유급, 46명은 제적… 수업참여 34.4% 그쳐
의대생 8305명 유급, 46명은 제적… 수업참여 34.4% 그쳐

전국 40개 의과대학 재학생 46명이 제적되고 8305명이 유급 대상자로 확정됐다. 학기 말 성적경고 예상자 등을 포함하면 1만 2767명에 달해 수치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9일 교육부가 발표한 '전국 40개 의과대학 유급 및 제적 대상자 현황'에 따르면, 의대생 1만 9475명 중 42.6%에 해당하는 8305명이 유급, 0.2%인 46명이 제적될 예정이다. 예과 과정에 유급이 없는 대학의 경우, 2025학년 1학기 이후 성적경고 예상 인원은 3027명(15.5%)으로 나타났다. 또 1학기 등록 시 1개 과목만 수강 신청해..

청남대 이어 `국민 품으로` 청와대...거스를 수 없는 대의
청남대 이어 '국민 품으로' 청와대...거스를 수 없는 대의

2022년 5월 10일 전면 개방과 함께 국민 품에 안긴 지 3주년을 맞은 '청와대'. 영욕의 상징으로 통한 청와대의 미래지향적 선택지는 어디일까. 6월 3일 대선 국면에선 다시금 권력의 품으로 돌아가려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청와대 방문객 수가 부쩍 늘고 있다. 운영 주체인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청와대 재단은 이 같은 여건 변화와 관계 없이 일상적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중도일보는 '국민 vs 권력' 사이에서 기로에 선 청와대 개방 3주년을 재조명하고, 대통령실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필요성에 무게를 싣는 내용을 중심으로 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

  • 성심당과 함께 선거빵 출시…‘함께 투표해요’ 성심당과 함께 선거빵 출시…‘함께 투표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