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민간투자, SOC확충 유일대안…전향적 접근 필요

  • 정치/행정
  • 대전

[기획] 민간투자, SOC확충 유일대안…전향적 접근 필요

[이슈로 떠오른 대전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
(중)민간투자 우려 왜 나오나

  • 승인 2019-10-01 16:49
  • 신문게재 2019-10-02 3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대전하수처리장 새롭게 태어난다_-금고동 매립장내에서 촬영
금고동 하수처리장 이전부지 모습. 사진제공은 대전시
[이슈로 떠오른 대전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

(상)'민간투자' 진실게임

(중)민간투자 우려 왜 나오나

(하)'논란불식' 다른 대안은





대전하수처리장 이전·현대화 사업의 민간투자를 둘러싼 논란의 핵심은 민간업체에 대한 과도한 수익 보장으로 인한 혈세 낭비다.

하수처리장 이전 사업은 민간기업이 사업비 8433억 원을 들여 하수처리장을 이전하고, 30년 동안 관리·운영권을 부여받은 뒤, 매년 사업비와 운영비 753억 원씩 총 2조 2602억원을 상환 받는 방식의 손익공유형 민간투자방식(BTO-a)으로 추진된다. BTO-a는 이익이 발생하면 정부와 민간이 7대 3 비율로 이익을 배분하고, 손실이 발생하면 30% 이하는 민간 부담, 30% 초과는 재정지원을 받는 방식이다.

갑천고속화도로 등 일부 민자사업의 부실한 수요 예측과 최소운영수입보장제도(MRG)에 따른 추가 재정지원이 발생하면서 '돈 먹는 하마'라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공공재'의 민간투자에 대한 불안감이 크다.

하지만 일부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민자사업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들이 버리기 힘든 카드다. 복지 분야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면서 민자사업이 사회간접자본(SOC) 확충을 위한 사실상 유일한 대안이기 때문이다. 대전하수처리장 이전 사업만 해도 사업비로 8433억원이 필요하다. 대전시 재정으로 하기 힘들다. 이전에 대한 국비 지원 근거도 없는 상황이다. 일례로 제주가 관광객 증가로 인한 하수처리 용량 초과로 증설이 필요한 상황인데도 지지부진하다 결국 정부의 예타면제 사업 선정돼 추진 중이다.

민간투자사업에 대한 맹점을 보완한 것이 공공투자관리센터((KDI-PIMAC)의 적격성 검토다.

대전시 관계자는 "국내 최고 권위의 국책연구기관이 사업에 대해 경제적 타당성이 있고, 민간투자사업이 적격하다고 공인한 사안"이라면서 "사업을 통해 시설운영비 절감, 악취 해결, 방류수질 개선, 이전 부지의 효율적 활용 등 비용편익(B/C)이 기준치인 1을 넘었다"고 말했다.

민간투자 사업으로 인한 하수도 요금 인상에 대한 시민 부담 우려도 나온다. 대전시는 요금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인정하고 있다. 이전·현대화에 따른 사업비와 3%대 미만의 수익률, 30년 관리·운영에 따른 지원을 민간사업자에게 해줘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인상이 있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대전시는 요금인상 최소화를 얘기하고 있다. 1일 시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시설관리공단에 위탁한 운영비는 19년간 매년 8.83% 인상되고 있어 2026년에는 682억원에 이른다. 이대로라면 이전·현대화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인건비 절감 등으로 운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여기에 현 하수처리장 이전부지 개발에 따른 지원금을 사업비에 보전하면 인상분을 줄일 수 있다.

이전 필요성에 대한 입장도 갈린다. 시민단체들은 대전시가 대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그 근거로 2016년 실시한 안전진단 B(양호)등급과 130억 원의 투입하면 악취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한국환경공단 연구용역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대전시 전체 도시 여건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현 위치는 대덕특구와 엑스포재창조 구역과 인접해 있다. 과거와 달리 대전시 중심권에 해당한다. 여기에 악취로 수십년간 시달린 주변 주민들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지금 와서 민간투자 추진을 반대하는 것은 10년 전 과거로 회기 하자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면서 "국토부를 비롯해 타 지자체들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민간투자 사업이라고 부정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확실하게 이해득실을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노후계획도시 선도지구 곧 구체화… 대전 지정여부 촉각
  2. 철도지하화, 대전시 사업성 높일 혁신 전략 담아야
  3. 제4대 세종시의회 후반기 의장 선출...안갯속 국면 놓이나
  4. "신분증 없으면 진료 왜 못받나요"…신분증 첫날 현장 혼선
  5. '돌아오지 않는 의대생' 유급문제 관건… 의대 증원 학칙개정 5월 마무리
  1. 오늘부터 병원 본인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2. 전 야구선수 낀 전세사기 공범 징역 5년 구형
  3. 대전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대전시 정신건강 전문자문단’ 위촉식
  4. '충남형 교원 행정업무 경감 시스템'… 공교육강화 성과나올까
  5. 한남대-중앙대병원 '의료서비스' 업무협약

헤드라인 뉴스


[기획] 2. 게임의 성지 `대전e-스포츠경기장`

[기획] 2. 게임의 성지 '대전e-스포츠경기장'

"대전을 대한민국 최고의 게임 허브 도시 도시로 만들어 갑시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취임 이전부터 게임산업에 각별한 관심을 드러냈다. 후보 시절 주요 공약은 물론 취임 후 대전에서 열린 e-스포츠 대회에도 꾸준히 참석해 "대전을 대한민국 게임산업의 허브 도시로 만들어 보자"고 강조했다. 민선 8기 출범 이후 대전은 e-스포츠 대회를 꾸준히 유치하는 등 게임 산업 발전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노잼도시'라는 불명예를 가진 대전에 게임은 매우 매력적인 콘텐츠라 할 수 있다. 지난해 8월 사흘간 2만 2천 명의 관람객을 대전으로..

"신분증 없으면 진료 왜 못받나요"…의료기관 찾은 환자들 혼선
"신분증 없으면 진료 왜 못받나요"…의료기관 찾은 환자들 혼선

의료기관 신분증 확인 의무화 첫날인 20일 대전 서구 둔산동의 한 내과를 찾은 조명미(65)씨가 진료 접수대 앞에서 집에 있는 가족에게 전화를 걸었다. 서랍에 놓고 나온 신분증을 병원까지 가져다 줄 수 있는 지 묻기 위해서다. 하지만 가족과 연결이 닿지 못한 조 씨는 결국 오전 진료를 포기하고 병원을 나섰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이날부터 전국 병·의원과 약국에서 '요양기관 본인 확인 강화 제도'가 시행되면서 혼선이 적지 않았다. 본인 확인제도는 다른 사람의 이름과 주민번호를 제시해 중독성 마약 의약품을 처방받는 사례가 잇달아..

충남기계공고·천안여상 협약형 특성화고 선정… 지역에서 취업·성장 기대
충남기계공고·천안여상 협약형 특성화고 선정… 지역에서 취업·성장 기대

충남기계공고와 천안여상이 교육부 협약형 특성화고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 지역에서 교육받고 취업 후 정주하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지자체와 지역 기업·대학·연구기관이 자체 모델을 구축한다. 교육부는 올해 처음 도입한 협약형 특성화고 공모 결과 전국 9개 지역에서 총 10개 학교를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대전에선 충남기계공고, 충남에선 천안여상이 최종 10개 학교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지역과 국가에 필요한 특수 산업분야, 지역 기반 산업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지자체, 교육청, 지역 기업, 특성화고 등이 협약을 맺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성년 됐어요’…한복 곱게 입고 셀피 ‘성년 됐어요’…한복 곱게 입고 셀피

  • 오늘부터 병원 본인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오늘부터 병원 본인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 장미꽃 가득한 한밭수목원 장미꽃 가득한 한밭수목원

  • 대전 찾은 이재명…당원들과 스킨십 강화 대전 찾은 이재명…당원들과 스킨십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