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특구재단은 판교2밸리를 대덕특구모델로 보고 이번 리노베이션을 통해 융합연구혁신센터, 출연연 오픈 랩, 판교2 밸리와 같은 기업성장지원센터, 산학연 네트워크 허브, 네덜란드의 아인트호벤, 하이테크 캠퍼스와 같은 과학산업기반 첨단산업단지, 창업지원마을·창업교류공간 등을 조성해 100조 원 부의 창출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이 같은 청사진이 마스터플랜도 마련되지 못하고 지지부진한 것은 국회와 부처 등 관계기관과의 의견수렴이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 18일 대전시 리노베이션 초안 보고회(설명회)만 이뤄졌을 뿐 아직도 국회와 관계부처와는 충분한 교류가 없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지난달 관계부처 협의를 마치고 이달과 다음 달 두 차례에 걸쳐 시민 의견 수렴 절차를 예고했지만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당장 연내 마스터플랜 최종본 완성을 놓고 오프라인 형식의 불특정 다수 대상의 공청회는 한 번밖에 진행하지 못할 가능성마저 커졌다.
대덕특구는 대전을 넘어 국가적으로 중요한 자산이다. 향후 50년을 넘어 100년을 바라보는 사업에 속도보다 방향이 중요한 것도 맞다. 다만 주관기관들이 서로 관망하는 태도를 보이며 소극적인 태도를 견지하는 동안 사업이 방향을 잃고 표류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도 커지고 있다. 관계기관들이 되새겨야 할 부분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