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대전청사 |
가전은 물론 생활전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속속 접목되고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 기술의 영향력과 앞으로의 발전방향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연구원은 물론 미술가, 지식재산권 전문가가 나서 각분야에서 도입되는 인공지능 기술의 현황을 소개하고 현안 과제를 논의한다.
특허청은 18일 오후 12시 40분부터 기초과학연구원(IBS),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함께 공동으로 비대면 화상회의 방식의 'AI + IP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외 AI 기술발전에 따라 전세계 특허 출원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정치, 정책, 법, 예술 등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제 1 세션에서는 'AI와 제도 룰은 누가 어떻게 만들 것인가'라는 주제로 원광연 KAIST 교수의 '물오른 AI 시대에 던지는 질문들'의 주제강연에 이어, 특허청 융복합기술심사국의 김지수 국장이 '인공지능의 글로벌 지재권 이슈'에 대해 발표한다.
이어 선승혜 대전시립미술관장이 예술인의 관점에서 'AI 저작권 사례'를 논의하고 박성필 KAIST 교수가 AI 기술의 특허, 저작권 보호와 관련해 출원과 소송 동향을 소개한다.
IBS 이노베이션팀 부경호 팀장이 진행하는 제 2 세션에서는 'AI 지식재산 실무'를 주제로 박재훈 특허청 인공지능빅데이터심사과장이 '인공지능은 에디슨이 될 수 있을까'를 발표하고 박상현 특허청 머신러닝특허팀장이 '인공지능 특허획득 방법'에 대해 각각 주제 발표한다.
김지수 특허청 융복합기술심사국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지식재산의 관점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연구자들이 지식재산권을 획득함으로써 개인적으로는 연구성과 보상의 토대가 되고, 국가적으로는 산업경쟁력을 더욱 키워나가는 주춧돌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편, 특허청은 특허·실용신안·디자인·상표에 관한 사무와 이에 대한 심사·심판 및 변리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산업재산권의 적기 보호로 산업기술 개발의 촉진을 지원하고, 산업재산권 행정체계를 구축해 기술경쟁 시대에 대처하기 위해 지난 1977년 설립됐다.
기술적 창작물에 대한 심사 및 특허권 부여, 발명진흥 시책 수립·시행, 특허심판제도 운영 등의 업무를 관장하고 있으며 지난 2006년 5월 1일 '책임운영기관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개정에 따라 중앙행정기관 최초로 기업형 중앙책임운영기관으로 전환됐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