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일 기초과학연구원(IBS)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에 따르면 그동안 통계적 보고에 따라 알려졌던 연령과 중증·사망도 간 상관성이 실험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 연구팀은 고연령 감염자의 중증도와 전파율이 저연령 감염자보다 높다는 사실을 동물시험으로 증명했다. 코로나에 감염된 족제비과 포유류 페렛을 6개월 이하·1년 이상·3년 이상 연령별로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어린 페렛은 병원성과 증식성이 낮아 다른 동물로 전파원이 되지 못한 반면 고령층 페렛은 증식성이 높아 다른 동물로의 전파율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에서 바이러스 RNA 양성 세포가 다수 검출되고 중증 폐병변도 관찰됐다.
연구팀은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RNA 염기서열분석 기법으로 감염된 폐 조직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어린 페렛에서는 빠른 면역 반응 후 조직재생을 위한 다양한 유전자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한 반면 고연령 페렛에서는 감염 초기부터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이 극대화되고 면역세포가 활성화돼 심각한 염증을 유도했다. 고연령 페렛에서 관찰된 중증 또는 사망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모습과 비슷하다.
최영기 센종바이러스연구센터장은 "숙주 연령에 따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병원성과 전파율에 큰 차이가 있음을 실험을 통해 최초 증명했다"며 "중증·고령환자 맞춤형 치료제 개발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커 커뮤니케이션즈' 온라인판에 10일 게재됐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