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진용 한국한의학연구원장이 17일 오전 대덕특구 기자단과 간담회 중 발언하고 있는 모습. 사진=임효인 기자 |
이진용 원장은 17일 오전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 기자실에서 진행한 기자 간담회에서 디지털한의학 등 앞으로 연구원이 핵심적으로 추진할 사업과 가치에 대해 설명했다.
이 원장은 "일정한 경혈의 작용을 통해 오장육부의 기능이 활성화되고 회복되면 암이라든지 치매라든지 자율신경 기능이 깨져 생기는 모든 질환들이 오장육부가 활성화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을 연구원에 와서 짐작하게 됐다"며 "디지털화가 되면 그런 식으로 기기들이 개발돼 약을 먹지 않고 혈압이 개선되고 투석을 하지 않아도 신장 기능을 유지하고 몸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디지털화를 통해 이 같은 시대가 열릴 것으로 내다보며 진단과 치료 위계를 만들어 한의학이 국민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거라는 시각이다. 한의학연은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혈위 자극을 이용한 생체조절 융합원천기술 개발' 등 연구사업을 기획 중이다.
이 원장은 한국 고유 침법인 사암침법을 소개하며 글로벌침구연구센터 설립 필요성도 언급했다. "(지난해) 10월부터 글로벌침구연구센터를 만들자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중국은 현재 한의학연 예산을 침구 연구에 쏟고 있다"며 "사암침법은 중국에서도 따라올 수 없는 한국 고유의 침법"이라고 연구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더 훌륭한 침법이 있다면 수용하고 통합하고 연구하고 디지털을 가속화하고 구체화할 수 있는 센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한의 약재 개발과 국내 농민 소득증대를 연결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구상을 전하며 "그동안 논문을 쓸 땐 성분으로만 썼다. 지표물질로 약을 개발하고 제약화 했다"며 "국민이 먹고 살 수 있고 농산물이 약재가 될 수 있는 개발해 농민 소득을 증대하는 것도 한의학연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