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지역 떠나는 20·30...그들에겐 큰 이유가 있다

[기획] 지역 떠나는 20·30...그들에겐 큰 이유가 있다

양질 일자리 부재가 가장 큰 원인
문화자본·인적자본 아쉬움도 영향

  • 승인 2023-05-08 16:51
  • 신문게재 2023-05-09 1면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GettyImages-jv12693912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기획-지역 인재 '탈대전 스톱(STOP)']

(상) 먹이 찾아 둥지 떠나는 지역 청년들

(중) 좋은 일자리는 수도권에? 지역 강소기업 '억울'

(하) 지역경제 구조적 문제 개선방안은





'지방에는 먹이가 없고 서울에는 둥지가 없다.' 먹이는 일자리를, 둥지는 주거지를 뜻한다. 지역엔 양질의 일자리가, 서울엔 집을 구하기 힘들다는 암울한 현실을 빗댄 문구다. 지역청년들은 '둥지'가 없음에도 '먹이'를 찾아 서울로 떠난다. 적은 일자리 수와 직종의 다양성 부재, 부족한 처우 등이 이유로 꼽힌다. 지역에서 청년이 빠져나가면 지역경제 황폐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지역에서 성장한 기업이 인재 유치를 위해 '탈대전'을 고려하고, 대기업들은 지역에 인재 찾기가 힘들다는 이유로 경기도 판교 이남으론 잘 내려오려고 하지 않는다. 악순환이 반복되며 지역에 남고 싶은 청년은 '울며 겨자 먹기'로 서울행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이에 중도일보는 세 편의 기획 시리즈를 통해 지역을 떠나는 청년들의 목소리를 들어보고 지역 청년 이탈을 막을 방안이 뭔지 알아본다. <편집자 주>



[기획-지역 인재 '탈대전 스톱(STOP)']

(상) 먹이 찾아 둥지 떠나는 지역 청년들



"서울 가면 고생할 것 뻔히 보이지만, 다들 어쩔 수 없이 가는 것 같아요."

최근 기자가 만난 대전에 사는 20·30 청년들의 공통적인 생각이다. 자신이 나고 자란 곳에서 경제활동을 하고 싶지만, 선택지가 부족하다는 게 이들의 의견이다. 수도권에 있는 기업이 주는 임금이 지역보다 많아 높은 물가와 자취비용을 빼더라도 수도권 취업이 훨씬 이득이라고 청년들은 입을 모은다.

고용노동부의 고용노동지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근로자 1인당 월 평균 임금 총액은 서울이 456만 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대전은 381만 원, 세종은 398만 원, 충남은 401만 원으로 서울과 격차가 적지 않다. 고용률로 보면 2023년 2월 기준 서울 68.3% 경기 69.2%인데 비해 대전 68.2%, 세종 66.9%, 충남 67.6%에 불과하다.

충남에서 태어나 대전에 있는 사립대를 졸업하고 대전에 있는 마케팅 회사에 다니는 문지희 씨(25살)는 서울로 이직을 고민하고 있다. 문 씨는 "대전에 있는 회사는 임금 수준이 너무 낮고 임금 상승률도 미미하다"며 "한적한 분위기가 좋고 가족들도 있어서 대전에서 평생 살고 싶었지만, 취업 여건이 좋지 않아 서울에서 더 나은 대우 받으면서 살려고 한다"고 토로했다. 수도권과 가까운 대전의 지리적 요건은 오히려 청년층의 이탈을 가속화 시킨다. 문 씨는 "어차피 서울과 대전은 KTX로 한 시간 거리인데 부모님 뵈러 자주 오면 되는 거 아니냐"고 했다.

지역엔 일자리의 절대적인 숫자가 적을 뿐더러 선택지도 다양하지 않다. 대전에서 태어나 지역 국립대를 졸업하고 경기에서 IT업계 중견기업에 다니는 강윤제씨(29살)는 "대전은 공기업이 대부분이고 IT업계 양질의 일자리가 없다. 수도권은 회사가 몰려 있어서 이직하기도 편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IT개발·데이터로 검색하면 서울은 1만 410건의 채용공고가 올라왔지만, 대전은 613건에 불과했다. 고용노동부 2022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를 보면 대전에서 취업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교육 서비스업, 음식점 및 주점업,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업이었다.

인적 네트워크와 문화 자본을 쫓아 서울에 가는 이들도 적지 않다. 대학교를 서울로 진학하며 상경한 김현주(28살)씨는 고향에 내려올 생각이 없다. 김씨는 "대전은 새로운 트렌드를 받아들이는 속도가 느리고 지역 특유의 보수성이 있어 답답하다"며 "다양한 문화생활도 서울에 집중돼 있다"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화이글스의 도전이 끝나는 순간! 마지막 육성응원 최강한화 1
  2. 대전의 가을밤을 뜨겁게 달군 과학관 응원단장! 한화팬-대전시민여러분께 1
  3. 대전사랑메세나,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이 함께한 '더 노은로 작은음악회' 성료
  4.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 '2025년 평생학습주간 축제' 개최
  5. 샛별재가노인복지센터, 가을나들이 행사 진행
  1. 백석문화대, 뉴질랜드 글로벌 현장학습 파견… 보건의료 인재 육성 가속
  2. 단국대 C-RISE사업단, 지역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3. 상명대, 카자흐스탄 대학들과 웹툰학과 개설 교류협력 협약
  4. 한기대 RISE사업단, '2025 산학연협력 EXPO' 참가
  5. 조원휘 대전시의장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신속 추진해야”

헤드라인 뉴스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치른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LG 트윈스는 한화를 1-4로 꺾으며 정규 리그 우승과 한국시리즈 우승의 영광을 함께 안았다. 한화는 3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를 맞아 1-4로 패배했다. 한화는 이날 경기에서 문동주-정우주-황준서-김종수-조동욱-주현상-류현진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불펜 자원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였지만,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LG의 타선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시리..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