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 스탠포드大 'AI 인덱스 2023' 보고서로 읽는 글로벌 AI 트랜드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 스탠포드大 'AI 인덱스 2023' 보고서로 읽는 글로벌 AI 트랜드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

  • 승인 2023-05-18 17:15
  • 신문게재 2023-05-19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황순욱 사이언스칼럼 사진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
4월 초에 스탠퍼드대 인간중심 AI 연구소(HAI)의 386쪽 'AI 인덱스 2023' 보고서가 발표됐다. 이 보고서는 2017년부터 매년 발간되며 연구개발·기술·투자·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AI 관련 데이터의 수집·분석을 통해서 글로벌 AI 추세와 동향을 발표한다. 온라인 가시화 툴을 통해 AI 고용 지수와 저널 논문 출판 수 등 20여개 지표에 대해 약 30개 국가 간 순위를 볼 수 있어서 글로벌 대비 한국 AI 현주소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의 데이터에 의하면 한국은 AI 연구개발과 경제 분야 종합 순위에 있어 조사된 29개 국가 중에 미국, 중국, 인도, 영국, 캐나다에 이어 6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보다 경제 규모가 훨씬 작은 이스라엘과 싱가포르가 9위와 10위, 그리고 일본은 13위인 것이 눈길을 끈다. 한국은 AI 인력, 고용, 투자, 논문 출판 수 등에서 국가 경제 규모 대비 나름 선방하고 있는 셈이다.

이번 보고서는 연구개발, 기술 성능, AI 기술 윤리, 경제, 교육, 정책·거버넌스, 다양성, 여론이라는 8개 장으로 구성돼 있다. 챗GPT가 촉발한 AI에 대한 대중의 높아진 관심 때문인지 AI에 활용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조사·분석한 '여론' 장이 새롭게 추가됐다. 안면인식과 같은 첨단 AI 기술에 의한 '빅브라더' 체제 의혹이 있는 중국이 응답자 중 78%가 AI 활용에 대해서 긍정적이라 답변해서 28개국 중에 1위를 차지한 사실이 약간 놀라웠다. 한국은 62%가 긍정적이라 답해서 9위에 위치한다. 프랑스는 31%만이 긍정적이라고 해서 최하위를 차지했다. 한편, 글로벌 AI 제품과 서비스를 이끌고 있는 미국은 응답자의 35%만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는 컴퓨터비전, 자연어, 음성인식, 강화학습 분야 등의 'AI 기술 성능' 관련해서 예년보다 좀 더 자세히 조사·분석했다. 이미지넷 같은 전통적인 벤치마크의 성능 향상은 이제 포화상태에 도달해서 미미한 것으로 나왔다. 이미지 생성 AI인 달리2와 챗GPT와 같은 생성 AI 활용이 대중화되면서 AI 법적, 윤리적 문제가 점점 부각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서 2022년도에 생성 AI 모델의 정확성과 독성·편향 같은 AI 윤리 지수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평가할 수 있는 보다 복잡한 새로운 벤치마크인 빅벤치(BIG-bench)와 헬름(HELM)이 등장하게 됐다.



이번 보고서는 초거대 언어 및 멀티모달(multimodal) 모델에 대해서도 '연구개발' 장에서 상세히 다루고 있다. 2019년 개발된 GPT-2부터 2022년 개발된 오픈소스 다국어 언어모델인 블룸(2022년)까지 30여개 모델에 대해서 개발 시기, 개발 국가 및 기관, 매개변수 개수, 훈련 비용 등을 비교·분석했다. GPT-2와 GPT-3 모델 훈련 비용이 각각 5만 달러(약 6800만 원)와 180만 달러(약 24억 원)로 조사됐다. 네이버 하이퍼클로버의 훈련 비용은 27만 달러(약 3억 6000만 원)로 나왔다. 초거대 언어 모델의 최적의 매개변수 값을 찾기 위해서 모름지기 수 개월 동안 수백 번 이상 실험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보고서 수치보다 훨씬 큰 비용이 들 것이라 생각된다.

2022년은 생성 AI의 전성시대가 활짝 열린 해이다. 메타 'Make-A-Scene'(이미지 생성, 3월), 오픈 AI '달리2'(이미지 생성, 5월), 스터빌리티 AI 'Stable Diffusion'(이미지 생성, 8월), 오픈 AI 'Whisper'(음성 인식, 9월), 메타 'Make-A-Video'(비디어 생성, 9월), 오픈 AI '챗GPT'(챗봇, 11월)가 공개됐다. 2023년에도 구글 쳇봇 '바드'(3월)', 오픈 AI 'GPT-4'(4월), 구글 'PaLM2'(5월) 출시 등 생성 AI의 전성시대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마침 GPT-3 규모의 오픈소스 언어모델 블룸과 OPT 등이 공개됐다. 최신 GPU 8000개 이상 규모로 기대되는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도 구축 중이다. 우리도 더 늦기 전에 지난 몇 년간 나름 축적한 국가 AI 역량을 모아 초거대 생성 AI 개발 대열에 뛰어들어야 한다.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행정수도특별법 드디어 국회 심사 돌입…충청 총력전 시급
  2. 국정과제 포함된 2차 공공기관 이전… 충남도 유치 재시동
  3. 수강 안한 의대생 위해 학칙 개정?… 개강 앞둔 지역 의대 구제 방안 고심
  4. 충남건설본부-전문건설업계 상생발전 방안 모색
  5.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개별1:1 지원서비스 제공지관 역량강화 특강
  1. "그린캠퍼스 조성"… 충남도-도내 7개 대학, 다회용기 사용 협약
  2. [2026 수시특집-우송정보대] 지역혁신 넘어 글로벌브랜드-K 선도… 전문기술인재 키운다
  3. '공연예술 특화도시' 세종시, 하반기에도 즐거움 가득
  4. 충남교육청 원문 공개율 87.4%… 전국 최고 수준
  5. 건협 충남도·세종시회, 중대재해 근절 위한 '안전관리 특별교육' 개최

헤드라인 뉴스


의대생 유급 대신 특별학기?… 개강앞둔 지역대 구제방안 고심

의대생 유급 대신 특별학기?… 개강앞둔 지역대 구제방안 고심

2학기 개강을 앞두고 지역 의과대학들이 의대 정원확대 갈등 여파로 1학기를 수강하지 않았거나 시험을 치르지 않은 학생들에 대한 구제 방안을 고심 중이다. 당초 교육부는 미복귀 의대생에 대해 유급 처분을 지시했으나, 새 정부가 출범한 뒤 의대 정상화가 시급하다고 판단해 유급 대상자들의 2학기 복귀를 허용하면서다. 이에 따라 각 대학은 특별학기 개설이나 1학기 연장 등을 통해 정상 진급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방침이지만, 학사 일정 조정은 물론 학칙 개정까지 필요해 골머리를 앓는 분위기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최근 교육부의 기조에..

`아산 경찰병원` 예타 통과로 건립 본격화… 300병상 규모 건립
'아산 경찰병원' 예타 통과로 건립 본격화… 300병상 규모 건립

충남 아산 경찰병원 건립이 본격화된다.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면서다. 충남도는 이번 예타 통과로 제2중앙경찰학교 유치에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도는 20일 임기근 기획재정부 제2차관 주재로 연 '2025년 제8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아산 경찰병원 건립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밝혔다. 전액 국비 사업인 아산 경찰병원은 총사업비 1724억원을 투입해 아산시 초사동 일원 경찰종합타운 내 8만 1118㎡ 부지에 심뇌혈관센터 등 6개 전문의료센터와 24개 진료과, 3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 수준으로 건립될 예..

충남도, 전국 최초 민간 참여 지역 모펀드 결성… 김태흠 "시너지 기대"
충남도, 전국 최초 민간 참여 지역 모펀드 결성… 김태흠 "시너지 기대"

충남도가 전국 최초 민간 참여 지역 모펀드를 결성했다. 도는 이를 통해 대한민국 미래 경제를 이끌 '유니콘'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도는 20일 소노벨 천안에서 김태흠 지사와 노용석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이대희 한국벤처투자 대표이사, 김인태 IBK기업은행 부행장, 백남성 NH농협은행 부행장, 이동열 하나은행 부행장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 기업성장 벤처펀드' 결성식을 개최했다. 충남 기업성장 벤처펀드는 비수도권 벤처 투자 활성화를 위해 중기부가 실시한 모펀드 공모에 도가 선정됨에 따라 조성한다. 펀드 규모는 1011억..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드론테러를 막아라’ ‘드론테러를 막아라’

  •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