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72주년] 대덕특구와 지역 시민 가교 역할한 중도일보

[창간72주년] 대덕특구와 지역 시민 가교 역할한 중도일보

기존 신문에 면 추가해 매년마다 과학의 날 챙겨
지역 과학기술인 인터뷰, 대덕특구 연구 성과 홍보

  • 승인 2023-08-31 23:02
  • 신문게재 2023-09-01 11면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20230421_01010121
2023년 중도일보 과학의 날 별지. 사진=중도일보 DB.
창간 72주년을 맞은 중도일보는 과학의 날인 4월 21일마다 특집판을 만들어 과학 도시인 대전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매년 과학의 날마다 기존 신문에 판을 추가해 대덕특구와 카이스트 소식을 전했다. 대덕특구의 연구성과와 지역 과학행사, 지역 과학기술인를 소개하며 지역 신문인 중도일보는 대덕특구 출범 50년을 함께했다. 대덕특구가 지역과 교류가 적어 '대전의 섬'이라고 불린 점을 고려하면, 중도일보가 지역 주민과 대덕특구 사이의 만남의 장을 만들고 가교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대덕특구 출범 50년으로 뜻깊은 2023년

올해는 대덕특구 출범 50년이 돼 더욱 뜻깊은 한 해였다. 이번 과학의 날에 중도일보는 16면을 추가로 만들어 지역 과학 소식과 대덕특구 역사를 소개했다. 또, 올해 대전에서 열려 의미가 큰 제27회 대한민국 과학축제 소식도 전했다. 대덕특구 출범 50주년을 맞아 올해 과학의 날 특집판엔 대덕특구의 첫 삽부터, 연구 성과, 특구 재단의 탄생 등 대덕특구 역사를 정리했다.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에 멈추지 않고, 대덕특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유니콘 기업 탄생, 인재 유치 등도 제시했다.

20120420_01010134 (1)
2012년 중도일보 과학의 날 별지에 지역 과학기술인 인터뷰가 실려있다. 사진=중도일보 DB.
▲과학기술인 인터뷰로 지역과 소통



중도일보는 과학 특집판에 과학 기술인 인터뷰를 실어 지역과 대덕특구의 소통의 계기를 마련했다. 2012년 중도일보 과학 특집판엔 양승찬 대전시 과학기술특화산업추진본부장, 김흥남 ETRI 원장, 최태인 한국기계연구원장, 황주호 에너지기술연구원장, 김기학 한국원자력연료 사장, 이재구 연구개발특구 지원본부 이사장, 강대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이은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총장의 인터뷰를 확인할 수 있다. 인터뷰에서 이들은 앞으로의 포부를 전하며 지역민에게 다가갔다.

20140421_01010125
2014년 중도일보 과학특집판에 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기업과 상생한다는 내용이 있다. 사진=중도일보 DB.
▲지역 과학 연구성과 홍보 역할 '톡톡'

중도일보는 우리나라 과학 발전을 이끄는 대덕특구의 성과를 꾸준히 홍보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과학의 날 특집판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코로나 진단 '가글'과 코로나 실시간 진단 바이오 센서 개발 성과를 알렸다. 2018년 과학의 날 특집판엔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우리 기술로 볼츠만 상수의 국제적 불일치를 해결해 켈빈 정의의 마지막 실타래를 풀었다는 소식을 전했다. 2014년 특집판엔 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전 주기적 중소기업 지원을 구축하고 산학연 창조 생태계를 조성해 기업과 상생한다는 내용이 돋보였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화이글스의 도전이 끝나는 순간! 마지막 육성응원 최강한화 1
  2. 대전사랑메세나,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이 함께한 '더 노은로 작은음악회' 성료
  3. 대전의 가을밤을 뜨겁게 달군 과학관 응원단장! 한화팬-대전시민여러분께 1
  4.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 '2025년 평생학습주간 축제' 개최
  5. 백석문화대, 뉴질랜드 글로벌 현장학습 파견… 보건의료 인재 육성 가속
  1. 단국대 C-RISE사업단, 지역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2. 상명대, 카자흐스탄 대학들과 웹툰학과 개설 교류협력 협약
  3. 샛별재가노인복지센터, 가을나들이 행사 진행
  4. 한기대 RISE사업단, '2025 산학연협력 EXPO' 참가
  5. 조원휘 대전시의장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신속 추진해야”

헤드라인 뉴스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치른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LG 트윈스는 한화를 1-4로 꺾으며 정규 리그 우승과 한국시리즈 우승의 영광을 함께 안았다. 한화는 3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를 맞아 1-4로 패배했다. 한화는 이날 경기에서 문동주-정우주-황준서-김종수-조동욱-주현상-류현진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불펜 자원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였지만,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LG의 타선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시리..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