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엄마의 누룽지밥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엄마의 누룽지밥

  • 승인 2024-05-08 10:20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40508_095457069
초등학교 6학년때였나? 처음으로 밥을 지었다. 모내기철이었을 것이다. 그때만 해도 사람이 일일이 모를 심었기 때문에 농촌에선 모내기철이 제일 바쁜 시기였다. 아무도 없는 집에서 큰 맘 먹고 쌀을 씻어서 가마솥에 안쳐 불을 땠다. 얼추 밥이 된 것 같아 솥뚜껑을 열자 뜨거운 김이 올라오면서 구수한 밥 냄새가 퍼졌다. 처음 한 밥이지만 성공작이었다. 뿌듯했다. 주걱으로 밥을 뒤적뒤적한 다음 식구들 순서대로 식기에 밥을 퍼 담았다. 어둑해질 무렵 엄마가 왔다. 난 엄마한테 내가 밥을 했노라고 자랑스럽게 말했다. 엄마는 잘했다면서 밥상을 보더니 갑자기 엄한 목소리로 꾸짖었다. "네가 밥할 땐 네 밥을 맨 나중에 퍼야지." 머리를 한 대 맞은 느낌이었다. 평소 엄마가 하던 대로 엄마밥을 맨 나중에 푼 것이다. 고슬고슬한 밥이 아닌 솥 바닥을 닥닥 긁어 푼 누룽지밥.

엄마의 인생은 가장으로서의 삶이었다. 6.25 때 참전해 부상을 입어 장애인이 된 아버지를 대신해 집안을 이끌었다. 강인한 아내, 엄마가 될 수밖에 없었다. 6남매를 낳아 먹이고 기르고 가르치고. 새벽에 일어나 밤 늦게까지 노동의 연속이었다. 밭일은 또 오죽 많은가. 엄마가 늘 하던 말이 있다. 농사는 자식 키우는 것과 똑같다고. 여름날 뙤약볕 아래서 머리에 수건만 두른 채 하루종일 밭을 매는 엄마. 학교에서 돌아온 나는 커다란 양은 주전자에 차가운 우물물을 받아 설탕을 몇 숟갈 넣어 들에 갖고 가는 게 일이었다. 그러면 엄마는 시원한 설탕물을 꿀꺽꿀꺽 달게 마셨다. 곤궁한 집에서 엄마의 에너지원은 오로지 설탕물뿐이었다. 허리가 휘도록 억척스럽게 가난을 헤쳐나가는 그런 엄마에게서 지친 모습은 찾기 힘들었다. 아파도 누워있는 걸 본 적이 없다. 밥만 잘 먹으면 낫는다는 게 엄마의 지론이었다.

모성이란 뭘까. 본능일까, 환경의 소산일까. 전통사회에서 '모성'은 위대하고 아름다운 것이라고 캐치프레이즈처럼 불려왔다. 오로지 자식을 위해 어떤 고통도 감내하고 모든 것을 다 바치는 존재 말이다. 임신, 출산, 수유라는 생물학적 기능과 양육의 확고부동한 근거. 이 '모성 신화'라는 이데올로기가 인류사에서 여성을 암묵적으로 억압했다.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성스러운 소명'은 불가피했다. 허나 이 낡은 이념의 요구가 근대화되면서 여성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엄마의 누룽지밥'은 내 의식의 바탕에 각인돼 모성의 역할에 저항하고 거부했다. 온전히 나 자신에게 집중하고 싶었다. 이런 나에게 엄마는 "자식을 안 낳으면 사람 구실을 못한다"고 했다. 엄마가 그랬다. "애기 키울 때가 제일 행복했다."

엄마는 8년여 치매를 앓았다. 아득한 기억의 세계를 떠도는 엄마에게 지금 이 시각, 현재는 존재하지 않았다. 잠재된 무의식이 솟아올라와 때론 웃기기도, 때론 안쓰럽기도 했다. 언젠가는 죽은 아버지가 보고 싶다는 말을 되뇌었다. 엄마 옛날에 아버지랑 많이 싸우지 않았냐고 하니까 "그게 뭐 싸우는 거냐. 얘기한 거지"라고 해서 한바탕 웃었다. 종국엔 엄마는 어린 아잇적으로 돌아갔다. 엄마는 7살 때 엄마를 하늘로 보냈다. 예전에 가끔 그때를 남 얘기하듯 담담히 들려주곤 해서 당시 엄마의 심정이 어땠을까 깊이 생각하지 않았다. 그러다 어느 순간 우리 가족은 엄마잃은 공포와 두려움에 떠는 한 어린 아이를 마주했다. 엄마는 분리불안이 심해 외출하면 자신을 버리고 갈까봐 자식들 손을 꼭 잡고 어쩔 줄 몰라 했다. 언니에 의하면 하루는 엄마가 갑자기 "엄마아, 엄마아아!"를 큰소리로 외쳐서 놀랐다고. 아, 엄마는 오로지 엄마로만 존재하는 줄 알았는데. 일곱 살 아이 이순례는 찬란한 이 봄에 엄마를 찾아 먼 길을 떠났다. 안녕 엄마.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2.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3.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4.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5.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3.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4.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헤드라인 뉴스


대전,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도약… 연구·창업·제조 잇는 생태계 완성

대전,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도약… 연구·창업·제조 잇는 생태계 완성

대전이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저력 있게 변모하고 있다. 과학기술 인프라의 중심지인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비롯해 연구소, 대학, 병원, 기업이 유기적으로 얽히며 기술창출부터 창업, 임상, 제조까지 이어지는 국내 유일한 풀 밸류체인 바이오산업 생태계가 자리잡고 있다. 30여 년 전 LG생명과학, KAI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연구중심기관에서 박사출신 연구자들의 창업이 잇따랐던 대전은 현재 300여 개 이상의 딥테크 기반 바이오벤처가 집적돼 있고, 이 가운데 최근 상장기업 수가 60곳까지 확대됐으며 지역 시가총액에서도 두드러진 비중을..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