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말의 무게와 토사구팽(兎死狗烹)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말의 무게와 토사구팽(兎死狗烹)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5-03-1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본다'는 말이 있다. 우리의 인식 과정에 심각한 오류가 있다는 의미다. 주관적 가치 기준에 의해 세상을 평가한다. 그것이 모여 보편화되면 믿음이 되고, 본질 파악이 아예 어렵게 된다. 이로 인한 심각한 폐해가 현재 우리사회에 충만하게 드러나고 있다.

본질에 이르러야 하는데, 어느 것이 진실이고 본질인지 분간이 어려운 지경이다. 거기에 멈추면 그나마 다행이다. 대화나 이해로 간극을 해소하려는 노력은 커녕, 극단적으로 더 강고하게 부추기는 부류가 있다. 거짓과 선전선동이다. 그런 부류가 꼭 기억해야 할 것이 있다.

거짓말쟁이의 대명사로 익히 아는 이야기다. 이솝우화에 나오는 <양치기 소년> 이다. 모르는 사람이 없을 법하다. 다시 한 번 정리해 보자. 양치기 소년이 심심풀이로 마을 사람들에게 소리친다. '늑대가 양을 물어간다', '양을 늑대가 잡아먹는다.' 두 세 번은 마을 사람이 놀라 재빨리 달려 나왔으나, 곧 속은 것을 알게 된다. 바보가 된 기분은 참담하다. 화를 내거나 투덜거리며 돌아갔다. 어느 날 정말로 늑대가 나타나, 양을 잡아먹거나 물어갔다. 소년이 진짜라며 도와 달라 호소했으나, 이제야 말로 속지 않겠다며 아무도 내다보지 않았다. 소년은 결국 모든 양떼를 잃었다.

이와 유사한 이야기가 많이 떠오른다. 하나만 더 새겨 보자. 중국의 경국지색 중 한 명인 포사(褒?)는 도통 웃지 않는 여인이었다. 유왕은 그녀를 웃기기 위해 비단을 찢거나, 봉화대에 불을 지핀다. 봉화는 전쟁과 같은 위급한 상황에 피우는 것 아니던가? 봉화가 피어오르니 병사들이 전투준비를 한다. 거짓에 속아 불편하기 이를 데 없다. 포사가 신나게 웃으니 유왕은 시도 때도 없이 불을 피웠다. 그러다 실제로 오랑캐가 쳐들어와 봉화를 올렸으나, 또 거짓이겠지 하고 아무도 출정하지 않았다. 유왕은 오랑캐에 붙잡혀 죽고 주나라는 멸망한다.



말에는 무게가 있다. 보통사람은 자신의 말에 무게를 싣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명언이나 권위 있는 사람의 말을 빌린다. 각종 비유법도 쓴다. 힘주어 말하기도 한다. 뿐인가 '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 '오는 말이 고와야 가는 말이 곱다.' '말이 비수가 될 수도 있다.' '말은 화살과 같다.' '말이 씨가 된다.' 물론 많이 한다고 좋은 것도 아니다. '말은 은이요, 침묵은 금이다.' 국민을 우습게보기에 앞서, 자신의 신뢰붕괴, 조직분열, 능력저하에 주목하자.

역사책을 뒤적이다 보면 "어려움은 같이 할 수 있어도 즐거움은 같이할 수 없는 사람"이란 말이 종종 등장한다.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나라와 월(越)나라의 전쟁에서 나온 것이다. 월나라가 승리하는데 최고 영웅이었던 책사 범려(范?)가 모든 것을 뿌리치고 절세미녀 서시(西施)와 함께 제(濟)나라로 떠나면서 월나라 왕 구천(句踐)을 평가한 말이다.

중국 한고조 유방(劉邦)의 휘하에 한신(韓信)이라는 명장이 있었다. 여러 차례 유방을 사지에서 구해냈다. 한신 휘하에 유방의 성정을 잘 아는 괴통(?通)이라는 현자가 있었다. 유방이 최후의 승자가 되면 당신부터 제거할 것이라며 몰락의 위기에서 구하지 말라 권유하였다. 한신은 의리를 내세워 유방을 구출하였다. 유방이 마지막 승자가 되자, 정말로 생명의 은인인 한신은 물론 그의 일가식솔 수백 명을 처형하였다. 여기에서 나온 말이 토사구팽이다. 김후저 <불멸의 제왕들>에 의하면, "교활한 토끼가 잡히면 좋은 사냥개는 삶아 먹히고(狡兎死良狗烹), 나는 새가 더 이상 없으면 좋은 활은 창고에서 썩게 마련(飛鳥盡良弓藏), 적국을 깨고 나면 꾀 많은 신하는 죽이는 법이니(敵國破謀臣亡), 이제 천하가 안정되었으니 나 역시 팽(烹)을 당하는구나(天下已定 我固當烹)."

진정한 지도자는 권모술수가 아닌 능력과 비전으로 조직을 이끈다. 거짓과 부허(浮虛), 헛되고 그릇된 말을 일삼는 사람의 성정은 어떤 것일까? 필부는 결단코 가까이 하지 않는다. 살기 위해서.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시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동진 건양사이버대 총장, 원대협 14대 회장 취임 “원대협법 국회통과 총력"
  2. 백석대 레슬링팀, 제49회 전국대학레슬링선수권대회 '메달 싹쓸이'
  3. 천안시청소년재단-이천시청소년재단 업무협약 체결
  4. 천안법원, 만취 상태서 충돌사고 내고 도주한 30대에 '징역 1년'
  5. 천안시립교향악단, 9월 3일 신진연주자 '협주곡의 밤' 개최
  1. 천안도시공사 북부스포츠센터, '시니어 트로트댄스' 조기 마감
  2. 천안동남경찰서, 동천안우체국 직원 대상 교통안전교육 실시
  3. 단편영화인과 대전시민들의 축제 개막…31일까지 엑스포시민광장서 상영
  4. 천안시골프협회, '2025 천안시장배 및 협회장배 골프대회' 성료
  5. 천안시, 아동학대 대응·보호 협력체계 강화…민관 합동 워크숍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정기국회 돌입 충청 현안관철 골든타임

李정부 첫 정기국회 돌입 충청 현안관철 골든타임

1일부터 이재명 정부 첫 정기국회에 돌입하면서 충청 발전을 견인하기 위한 골든타임에 돌입했다는 지적이다. 행정수도특별법과 대전충남특별법 등 연내 통과는 물론 대정부질문을 통해 이재명 정부를 상대로 충청 현안 관철을 확답받을 수 있도록 지역 민·관·정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전 트램 등 현안 예산 증액도 이번 정기국회에서 발등의 불인데 한층 가팔라진 여야 대치로 충청 현안들이 뒷전으로 밀리는 것은 경계해야 할 지점이다. 국회는 1일 오후 2시 본회의장에서 정기국회 개회식을 열고 100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한다. 같은 달 9·1..

국회·대통령실 플러스 `디지털 미디어단지` 약속은 어디로?
국회·대통령실 플러스 '디지털 미디어단지' 약속은 어디로?

세종시 누리동(6-1생활권) 입지만 정한 '디지털 미디어단지(언론단지)'. 문재인·윤석열 전 정부로 이어지면 정책 공약으로 남겨져 있으나 빈 수레가 요란한 형국이다. 당초 계획상 토지 공급은 2025년 올해였다. 2021년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수도권 일간지 4개사와 방송 7개사, 통신 1개사부터 지방까지 모두 17개사가 너도나도 양해각서만 체결했을 뿐, 실체는 온데간데 없다. 당시만 해도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 완공이 2027년을 향하고 있었으나 이마저도 각각 2033년, 2029년으로 미뤄져 앞날은 더더욱 안개..

여야 대전시당, 내년 지방선거 앞 `잰걸음`
여야 대전시당, 내년 지방선거 앞 '잰걸음'

내년 제9회 지방선거를 앞둔 여야 대전시당이 조직 정비와 인재 양성 등 지선 체제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지방권력을 차지하려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뿐만 아니라 지역에 3당 구도 안착을 목표로 한 조국혁신당까지 공격적으로 나서면서 경쟁에 불이 붙는 모양새다. 먼저 조국혁신당 대전시당은 8월 31일 중구문화원 뿌리홀에서 대전·세종 제2기 정치아카데미를 개강했다. 2기 아카데미에는 내년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 등 80여 명의 수강생이 등록했다. 첫 강의는 최강욱 전 국회의원이 '이로운 보수, 의로운 진보'라는 주제로 수강생들과 만났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