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악성 미분양' 감소폭 전국 최대… 충남은 증가폭 전국서 세번째로 높아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대전 '악성 미분양' 감소폭 전국 최대… 충남은 증가폭 전국서 세번째로 높아

국토부 3월 주택통계 발표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증가세… 11년 7개월만 최대치
대전 10%·충북 7.1% 각각 감소… 충남은 18.9% 증가
"대선 앞 다양한 공약, 실효성 있는 대책 발굴 필요"

  • 승인 2025-04-29 16:32
  • 수정 2025-04-29 17:15
  • 신문게재 2025-04-30 5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2025년 3월 말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 현황
2025년 3월 말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 현황.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대전이 전국에서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감소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충남은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국토교통부가 29일 발표한 '3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5117세대로 한 달 전(2만 3722세대) 보다 5.9% 늘었다. 이는 2013년 8월(2만 6453세대) 이후 11년 7개월 만에 최대치다.

특히 지방에서 준공 후 미분양이 두드러졌다. 지방의 경우 2만 543세대로 전달(1만 9179세대)보다 1364세대 늘며 2만 세대를 넘어섰다.

충청권에서는 대전과 충북의 감소율이 전국에서 가장 컸다. 대전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522세대로 전달(580세대)보다 10%(58세대) 감소했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큰 감소율이다. 충북은 565세대에서 525세대로 7.1%(40세대) 줄었다. 대전에 이어 두 번째로 감소율이 높다.



반면, 충남은 준공 후 미분양이 1376세대로 전달(1157세대)보다 18.9%(219세대)로 늘어 전국에서 증가율이 세 번째로 컸다. 세종은 3세대가 늘어난 58세대를 기록했다.

전북은 520세대 늘며 한 달 새 28.4% 증가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고, 경남은 3026세대로 전달보다 23.1% 증가해 뒤를 이었다. 세대수 기준으로는 대구(3252세대), 경북(2715세대), 부산(2438세대) 순으로 준공 후 미분양이 많았다.

충청권 미분양 주택 수도 준공 후 미분양과 흐름을 같이 한다. 대전은 전달(2001세대)보다 190세대 줄어든 1811세대를 기록해 9.5%가 줄었으며, 충북은 2305세대로 4.1% 감소했다. 반면, 충남은 5084세대로 전달(4921세대)보다 163세대가 늘어 3.3%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방에서 심화하는 미분양 문제는 지역 부동산 침체와 건설 경기 불확실성을 키우는 등 악영향을 미치는 만큼,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나아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다양한 공약과 실효성 있는 대책이 발굴돼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대전 건설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정부에서 부동산 정책을 내세워왔는데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고, 윤석열 정부가 내세웠던 공약 정책들도 동력을 잃을 가능성이 커졌다"며 "이번 대선에선 악성 미분양을 비롯해 수도권 쏠림현상을 줄일 수 있는 지역을 위한 공약이 제대로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2. "석식 재개하라" 둔산여고 14일부터 조리원 파업 돌입… 4~5개교 확산 조짐
  3. "캄보디아 간 30대 오빠 연락두절 실종" 대전서도 경찰 수사 착수
  4. "대법원 세종으로 이전하자" 국감서 전격 공론화
  5.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1. '오늘도 비' 장마같은 가을 농작물 작황 피해… 벼 깨씨무늬병 농업재해 조사
  2.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3. 세종시 '버스정류장' 냉온열 의자 효율성 있나
  4. 가을비 머금은 화단
  5.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내년 지방선거 앞 존재감 경쟁

헤드라인 뉴스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출신 퇴직자들이 관련 업계에 취업해 사업을 수주하는 '전관 카르텔'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지난 1년간 수주한 사업 금액의 규모는 8096억 원에 달한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이 LH 퇴직자 현황 시스템을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10월 이후 LH 사업을 수주한 업체 91곳에 LH 출신 퇴직자 483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업체들이 1년간 수주한 사업은 355건, 수주액은 8096억 원이다. LH는 2009년 출범 이래 지금까지 4700명이 퇴직했다. 연평..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윤석열 정부 문화체육관광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발부와 집행 시기인 올해 1월 국민의힘 지도부에게 설 명절 선물을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정당 지도부에게 보낸 건 이례적인 데다, 당시는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과 그에 따른 서부지법 폭동 등 상당히 민감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내란 옹호 논란을 자초한 꼴이 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문체부로부터 제출받은 '명절 선물 발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유인촌 장관이 이끌던 문체부는 2025년 1월 설 연휴를 맞아 국민의힘..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전국체전을 앞둔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훈련장에는 뜨거운 열기가 감돈다. 체육관 바닥을 때리는 육중한 바벨의 굉음 속에도 선수들의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이들의 목표는 '대전의 힘'으로 금메달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대전체고와 한국체대를 거쳐 성장한 전해준 선수와 꾸준한 성적으로 대전 역도의 저력을 이끄는 한지안 선수가 있다. 대전체고와 한국체육대학을 졸업한 전해준(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선수는 고교 시절 제100회 전국체전 역도 인상 부분 금메달을 목에 걸며 유망주로 성장했다. 대학 진학 후 한동안 부상과 재활을 거듭하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